상해 거리

상해 거리

차이나타운

부산 속의 작은 중국

요약 테이블
위치 동구 중앙대로 179번길, 대영로 243번길
가는 법 지하철 1호선 부산역 1번 출구에서 도보 2분

목차

접기
  1. 중앙 상징물
    1. 비천상이 새겨진 상징물
  2. 패왕별희 동상
    1. 중국 희극 예술의 대표적 장르
  3. 부산 화교 중고등학교
    1. 화교 자녀들이 공부하는 곳
  4. 동화문
    1. 중국 청나라의 건축 양식
  5. 아치문
    1. 번성을 기원하는 문

부산역 맞은편에 우뚝 서 있는 상해문으로 들어가면 색다른 세계가 펼쳐진다. 약 120년 전 중국 영사관이 이곳에 들어서면서부터 중국인들이 모여들었고 중국인들은 이곳에 집을 짓고 가게를 마련했다. 지금은 상해 거리로 불리지만 한때는 청관 거리, 차이나타운, 또는 화교촌으로 불리는 등 오래된 세월만큼이나 다양한 이름이 거쳐 갔다. 상해 거리에는 지금도 화교 학교가 있으며 화교 2세와 3세들이 중국 음식점을 운영하며 살아가고 있다.

특히 상해 거리는 2004년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을 받은 박찬욱 감독의 영화 〈올드보이〉를 촬영한 곳으로도 유명한데, 최민식이 강혜정과 함께 자신이 먹었던 만두와 같은 맛의 만두를 찾아다니는 장면이 이곳에서 촬영되었다. 영화 속 중국 음식점인 장성향을 찾아서 만두를 맛보는 것도 색다른 재미가 될 것이다.

  • 상해 거리 1
  • 상해 거리 2
  • 상해 거리 3
    • 1~3상해 거리
상해 거리 부분 확대지도
상해 거리 부분 확대지도

중앙 상징물

비천상이 새겨진 상징물

상해 거리 중심부에 위치해 있는 조형물이다. 정 방향 기둥 상부에 꽃비를 뿌리며 하늘로 올라가는 천녀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중국의 둔황 막고굴에 있는 당나라의 비천상에서 따온 것이다.

위치 : 동구 중앙대로 179번길
가는길 : 지하철 1호선 부산역 1번 출구에서 도보 5분

패왕별희 동상

중국 희극 예술의 대표적 장르

중앙 상징물 옆을 살펴보면 패왕별희 동상을 발견할 수 있다. 〈패왕별희〉는 유명한 고전 경극인데, 경극은 북경에서 발전한 중국 희극 예술의 대표적 장르를 가르킨다. 〈패왕별희〉의 줄거리는 한나라 군에게 포위당한 초나라 왕 항우가 초나라의 패망을 슬퍼하자, 애첩 우희는 이별의 시간이 왔음을 알고 자진을 하고, 혼자 탈출한 항우도 결국 자결하고 만다는 비극적 결말을 다루고 있다.

위치 : 동구 중앙대로 179번길
가는길 : 지하철 1호선 부산역 1번 출구에서 도보 5분
패왕별희
패왕별희

부산 화교 중고등학교

화교 자녀들이 공부하는 곳

상해 거리에는 화교 중고등학교가 있다. 화교 학교는 교문부터 시작해 운동장도 한국의 학교와는 다른 분위기를 풍겨 눈길을 사로잡는데, 특히 담장이 삼국지 벽화로 되어 있어 기념사진을 찍기에 좋다. 화교 중고등학교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화교 소학교도 있는데, 1884년 중국이 영사관을 설치했던 자리에 들어서 있다.

위치 : 동구 대영로 243번길 61
가는길 : 지하철 1호선 부산역 3번 출구에서 도보 3분
  • 부산 화교 중고등학교 1
  • 부산 화교 중고등학교 2
  • 부산 화교 중고등학교 3
  • 부산 화교 중고등학교 4
    • 1~4부산 화교 중고등학교

동화문

중국 청나라의 건축 양식

상해문의 보조문 역할을 하는 문이다. 현판에는 '래래강녕(來來康寧)'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이곳을 드나드는 사람마다 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하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위치 : 동국 중앙대로 179번길
가는길 : 지하철 1호선 부산역 1번 출구에서 도보 8분
동화문
동화문

아치문

번성을 기원하는 문

권위와 영화를 상징하는 용 문양이 들어간 아치문으로, 상해 거리를 수호하고 번성을 기원하는 뜻에서 상가들이 밀집해 있는 도로의 양쪽 끝에 하나씩 설치하였다.

위치 : 동구 대영로 243번길, 247번길 부근
가는길 : 지하철 1호선 부산역 5번 출구에서 도보 3분
아치문
아치문

참고

・ ⓘ 본 콘텐츠는 '이번엔 부산(2019 개정판)'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현지 사정에 의해 정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