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스하키

박진감 넘치는 빙판 위의 하키

아이스하키

Ice Hockey
요약 테이블
채택 1924년 1회 샤모니 동계 올림픽(프랑스)
금메달 개수 2개 (남자부, 여자부)
국제경기 올림픽, 세계선수권대회, NHL(북미아이스하키 리그),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주요선수 블라디슬라프 트레티악(구 소련), 웨인 그레츠키(캐나다), 마리오 르뮤(캐나다), 헤일리 위큰하이저(캐나다, 여)

빙판 위에서 스케이트를 신고 벌이는 하키 경기로 스피드와 치열한 몸싸움이 박진감 넘치게 한다. 1924년 제1회 동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이 되었으며, 1998년 나가노 대회부터 여자부 경기도 열리고 있다. 캐나다와 미국 등 아이스하키 강국들과 나머지 국가 간의 실력 차이가 많이 나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챔피언십과 디비전 1~3으로 나뉘어 경기를 치른다. 올림픽에서는 캐나다와 구 소련, 그리고 미국이 오랫동안 3강을 유지하며 메달을 나누어가지고 있으며, 특히 캐나다는 최근 올림픽에서 남자부는 3번, 여자부는 4연패의 위업을 이루었다.

목차

펼치기
  1. 개요
  2. 역사
  3. 한국 아이스하키의 역사
  4. 올림픽 경기 종목
  5. 올림픽 리그 구성
  6. 올림픽 아이스하키 경기장 규격
  7. 올림픽 아이스하키 용구 규정
    1. 스케이트
    2. 스틱
    3. 복장
  8. 경기 방법 및 규칙
    1. 거칠면서도 치열한 몸싸움은 필수
  9. 대표적인 국제 경기
    1. 세계선수권대회
    2. NHL(National Hockey League; 북미아이스하키리그)
    3. ALIH(Asia League Ice Hockey; 아시아리그아이스하키)
  10. 세계적인 아이스하키 스타
    1. 세계 최고의 골키퍼 블라디슬라프 트레티악(Vladislav Tretiak, 구 소련, 1952. 4. 25~ )
    2. The Great One 웨인 그레츠키(Wayne Gretzky, 캐나다, 1961. 1. 26~ )
    3. ‘슈퍼마리오’ 마리오 르뮤(Mario Lemieux, 캐나다, 1965. 10. 6~ )
    4. 올림픽 4연패 신화 헤일리 위큰하이저(Hayley Wickenheiser, 캐나다, 여, 1978. 8. 12~ )
  11. 역대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메달리스트
    1. 1920년 7회 안트워프 하계 올림픽(벨기에)
    2. 1924년 1회 샤모니 동계 올림픽(프랑스)
    3. 1928년 2회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스위스)
    4. 1932년 3회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미국)
    5. 1936년 4회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동계 올림픽(독일)
    6. 1948년 5회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스위스)
    7. 1952년 6회 오슬로 동계 올림픽(노르웨이)
    8. 1956년 7회 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이탈리아)
    9. 1960년 8회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미국)
    10. 1964년 9회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오스트리아)
    11. 1968년 10회 그르노블 동계 올림픽(프랑스)
    12. 1972년 11회 삿포로 동계 올림픽(일본)
    13. 1976년 12회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오스트리아)
    14. 1980년 13회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미국)
    15. 1984년 14회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유고슬라비아)
    16. 1988년 15회 캘거리 동계 올림픽(캐나다)
    17. 1992년 16회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프랑스)
    18. 1994년 17회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노르웨이)
    19. 1998년 18회 나가노 동계 올림픽(일본)
    20. 2002년 19회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미국)
    21. 2006년 20회 토리노 동계 올림픽(이탈리아)
    22. 2010년 21회 밴쿠버 동계 올림픽(캐나다)
    23. 2014년 22회 소치 동계 올림픽(러시아)
    24. 2018년 23회 평창 동계 올림픽(한국)
    25. 2022년 24회 베이징 동계 올림픽(중국)
치열하면서도 박진감이 넘치는 아이스하키 경기 장면
치열하면서도 박진감이 넘치는 아이스하키 경기 장면

개요

필드의 하키처럼 빙판 위에서 벌이는 하키 경기이다. 그러나 유래는 필드하키가 아니라 아일랜드의 헐링과 스코틀랜드의 밴디이며, 이 두 가지 스포츠가 캐나다로 건너가 19세기 후반 아이스하키로 발전하였다. 캐나다와 미국에서 먼저 인기 스포츠로 자리 잡고 이후 유럽으로 저변이 확대되어 1924년 1회 샤모니 동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이 되었다. 팀 당 골키퍼 포함 6명이 경기에 나서는데, 상대방 골대에 퍽을 많이 넣는 팀이 승리한다. 20분씩 3피어리드로 진행된다.

역사

아일랜드의 헐링(hurling)과 스코틀랜드의 밴디(bandy)가 캐나다로 전해져 발전한 것이 유래이다. 헐링은 막대기와 공을 이용한 구기 스포츠로 야구의 기원이 되기도 하며, 밴디는 오늘날의 아이스하키와 비슷하나 퍽 대신 공을 사용하는 스포츠이다. 밴디는 1952년 오슬로 동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1875년 몬트리올 맥길 대학교(McGill University) 학생들이 처음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4년 뒤인 1879년 R. 스미스와 W. 로버트슨이 규칙을 만들어 정식 스포츠의 모습을 갖추었다. 20세기 초에 캐나다 동부 지역에 아이스하키 링크가 건설되어 인기를 끌었고, 이후 유럽에 소개되며 저변을 넓혀나갔다. 1908년 5월 파리에서 국제아이스하키연맹(IIHF)이 결성되어 국제적인 스포츠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1910년에 유럽아이스하키선수권대회가 열렸으며, 1920년에는 세계선수권대회가 창설되었다. 1920년 벨기에 앤트워프 하계 올림픽에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이후 동계 올림픽이 분리되어 1924년 프랑스 샤모니에서 열린 제1회 동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1998년 나가노 대회부터 여자부 경기도 열리기 시작하였고,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에서 적용하는 아이스링크 규격이 처음으로 채택되며NHL 선수들도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프로 아이스하키는 1917년 미국과 캐나다가 NHL(National Hockey League; 북미아이스하키리그)을 결성하며 시작되었다. 흔히 스탠리컵 대회로 불리는 NHL은 미국 프로풋볼(NFL)과 프로농구(NBA), 프로야구(MLB) 등과 함께 인기 프로 스포츠로 자리 잡았다.

한국 아이스하키의 역사

우리나라에 아이스하키가 처음 소개된 것은 1928년 1월 일본 도쿄제국대학 팀이 서울에서 시범경기를 치른 것이 최초이다. 이후 철도국과 경성제국대학에 아이스하키 팀이 만들어져 국내 경기도 갖게 되었다. 아이스하키는 이렇게 도입 100년을 앞두고 있으니 역사가 짧은 편은 아니지만 오랫동안 비인기 종목으로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올리지 못하였다.

해방 후인 1947년 조선아이스하키협회가 출범하였고, 1964년에 동대문 실내링크가 건설되어 경기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었다. 태릉선수촌에 실내링크가 마련된 것은 1984년이며, 1989년에는 국제규격 링크 2면을 갖춘 목동 실내링크가 건설되어 비로소 국제경기를 치를 수 있게 되었다.

1986년과 1990년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1990년에는 제7회 아시아오세아니아 주니어아이스하키선수권대회를 개최하였다. 1995년에는 제3회 아시안컵 대회를, 1997년에는 동계 유니버시아드대회를, 그리고 1999년에는 제3회 동계 아시안게임을 유치하여 아이스하키 국제대회를 연속으로 치렀다.

1990년대 초까지는 연세대와 고려대, 경희대 등 대학 팀이 아이스하키를 주도해왔으나 이후 실업 팀이 하나 둘 창단되고 1995년에는 한국아이스하키리그가 시작되어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꾸준히 성장해 평창 동계 올림픽을 앞둔 2017년 2월에는 세계선수권대회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냈다.

2부 리그인 디비전1그룹 최종전에서 우크라이나를 2대 1로 제압하고 1부 리그로 승격된 것으로 브락 라던스키와 브라이언 영 등 귀화 선수들의 활약이 컸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대회에는 주최국 자격으로 남녀 국가대표팀이 동반 참가하였으며, 특히 여자 팀은 남북 단일팀으로 구성되어 많은 관심을 받았으나 세계적인 수준과는 아직 격차가 커 하위권에 머물렀다.

푸른 눈의 한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들
푸른 눈의 한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들

올림픽 경기 종목

남자부, 여자부

올림픽 리그 구성

남자부는 대회 전 세계랭킹 8위까지 출전권이 주어지고, 주최국 1팀, 예선전을 통해 3팀이 본선에 올라 모두 12개 팀이 금메달을 다툰다. 12개 팀은 4팀씩 3개조로 나눠 리그전을 치러 점수에 따라 상위 4팀이 준준결승에 오르고, 나머지 8팀은 재경기를 치러 4팀이 준준결승에 합류한다. 이후 8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메달 색깔을 정한다.

여자부는 세계랭킹 5위까지 자동 진출하며, 나머지 국가들은 예선을 거쳐 2개 팀이 본선에 오르고, 주최국 1팀은 자동 출전하여 모두 8개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8팀을 2개 조로 편성하여 리그전을 가진 후 상위 2팀씩 준결승에 진출한다. 이후 준결승 승자끼리 금메달을 다투고, 패자끼리 동메달을 다툰다.

올림픽 아이스하키 경기장 규격

링크의 길이는 56~61m, 너비는 26~30m이다.
골대 : 엔드보드에서 4m 떨어진 곳에 놓이며, 높이는 1.2m, 너비는 1.8m이다. 1.2~1.22m 높이의 목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든 펜스로 둘러싸여 있다.
골크로스 : 골라인 중앙에 그려진 반원으로 골키퍼 보호 구역이다.

아이스하키 경기장
아이스하키 경기장

올림픽 아이스하키 용구 규정

스케이트

날 바닥 가운데에 약한 홈이 있으며, 두께는 4~5mm.
앞뒤가 둥글어 빠르게 움직이며 방향을 바꾸기에 좋다.

스틱

자루의 길이는 152cm 이하, 블레이드는 전체 길이 32cm, 높이 5~7.5cm이다.
단, 골기퍼의 스틱 블레이드는 전체 길이 37cm, 높이 9cm이다.

두께 2.54cm, 지름 7.62cm, 무게 156∼170g
경화고무 또는 다른 적당한 재료로 만들어진 납작한 원판 모양으로 되어 있다.

복장

유니폼 : 밝은 색과 진한 색을 8대 2 정도의 배색으로 두 벌을 만들어야 한다.
하키 팬츠를 착용하며, 헬멧과 장갑은 물론 어깨를 보호하는 숄더 패드와 팔꿈치 보호를 위한 엘보 패드, 정강이를 보호하는 신 가드를 착용한다.
골키퍼 : 바디 패드와 레그 패드, 캐치 글러브와 방어 글러브, 안면 마스크 등 별도의 장비를 갖춰 무게가 15~20kg에 달한다.

아이스하키 용구
아이스하키 용구

경기 방법 및 규칙

거칠면서도 치열한 몸싸움은 필수

아이스하키는 여자부 경기도 열리지만 남성적인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빙판 위에서 스케이트를 타고 긴 스틱을 휘젓는데, 상대 공격수를 몸으로 막는 보디체크(body check)가 허용되므로 서로 몸을 밀치는 등 거친 경기가 펼쳐지기 때문이다.

남자 경기는 팀 당 25명, 여자 경기는 팀 당 23명으로 구성되며 경기에는 골키퍼 포함 6명이 출전한다. 포워드와 디펜스로 각자의 임무가 주어지기는 하지만 경기 속도가 빠르고 치열하므로 모두 올라운드 플레이를 펼치곤 한다.

경기는 심판이 링크 중앙에서 퍽을 떨어뜨리며 시작되는데, 양팀에서 한 명씩 나와 이를 차지하려고 다툰다. 이를 페이스오프(faceoff)라고 한다. 득점이 되었을 때, 반칙이 일어났을 때에도 페이스오프를 하는데, 득점 시에는 중앙에서, 반칙 발생 시에는 지정된 지점에서 한다.

경기시간은 20분씩 3회로 총 1시간이며, 각 회는 피어리드라고 부른다. 피어리드 사이에는 15분간의 휴식시간이 주어진다. 스케이트를 타고 격렬한 몸싸움까지 해야 하므로 체력 소모가 대단해서 선수 교체를 자주한다. 작전 타임은 피어리드 당 1회 30초가 주어진다.

3피어리드 후에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10분의 연장전을 벌이며, 이때는 먼저 골을 넣은 팀이 승리한다. 연장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축구의 승부차기처럼 승부 샷을 한다. 단, 리그전일 경우에는 연장전 없이 무승부가 된다.

반칙을 하면 경중에 따라 2분, 5분, 10분 퇴장을 당하며, 큰 반칙의 경우는 남은 시간 동안 퇴장을 당하기도 한다. 반칙에 대한 규정은 세세하게 마련되어 있다. 판정에 대한 문의는 주장이나 부주장만이 할 수 있는데, 주장은 상의 가슴 부분에 캡틴(captain)의 약자인 C자를 부착하며, 부주장은 어시스턴트(assistant)의 약자인 A자를 부착해야 한다.

심판은 주심인 레퍼리 1명과 선심인 라인즈맨 2명으로 구성되나 라인즈맨을 1명만 둘 수도 있다.

아이스하키 경기구성
아이스하키 경기구성
아이스하키 주요용어
아이스하키 주요용어

대표적인 국제 경기

세계선수권대회

등급에 따라 챔피언십과 디비전 1~3으로 나뉘어 경기를 치른다. 챔피언십 대회는 최상위권 16개국이 참가하여 경기를 치른다. 디비전 1은 12개국이 상위권 A그룹과 하위권 B그룹의 2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기를 치르는데, A그룹에서 2개 팀이 챔피언십으로 승격되며, 최하위 팀은 B그룹으로 강등된다. B그룹의 우승팀은 A그룹으로 승격되고, 최하위 팀은 디비전 2의 A그룹으로 강등된다. 한국은 2017년에 디비전 1 A그룹에서 챔피언십으로 승격되었다.

NHL(National Hockey League; 북미아이스하키리그)

1907년 북아메리카아이스하키연합과 태평양연안아이스하키연합이 탄생해 1914년 양 리그 챔피언이 우승자를 가린 것이 시초이다. 이후 제1차 세계대전으로 중단되었다가 1917년 4개 팀이 새로 연맹을 결성하였다. 동부 컨퍼런스 15개 구단과 서부 컨퍼런스 15개 구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컨퍼런스는 다시 3개 지구로 나뉘어 있다. 각 컨퍼런스에서 정규 시즌 결과 8개 팀씩 총 16개 팀이 플레이오프를 펼치며 각 컨퍼런스 우승 팀이 7전 4승제의 챔피언 결정전각주1) 을 벌인다.

ALIH(Asia League Ice Hockey; 아시아리그아이스하키)

2003년부터 시작된 대회로 한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등에서 총 9개 팀이 참가하여 우승 팀을 가린다. 2009~2010시즌에 안양 한라가 한국 팀으로는 최초로 우승을 차지하였다. 안양 한라는 2010~2011시즌과 2016~2017시즌에서도 각각 우승을 차지하였다. 사무국은 일본 도쿄에 있다.

세계적인 아이스하키 스타

세계 최고의 골키퍼 블라디슬라프 트레티악(Vladislav Tretiak, 구 소련, 1952. 4. 25~ )

1972년 삿포로 대회부터 1984년 사라예보 대회까지 올림픽에 4회 출전하여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를 획득하였다. 1989년에 하키 영예의 전당(Hockey Hall of Fame)에 헌액되었으며, 2006년 러시아아이스하키연맹 총장으로 선출되었다. 2013년에는 국제아이스하키연맹 센테니얼 올스타로 선정되었다.

블라디슬라프 트레티악
블라디슬라프 트레티악
The Great One 웨인 그레츠키(Wayne Gretzky, 캐나다, 1961. 1. 26~ )

빙판 황제로 불리는 세계 최고의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NHL에서 통산 894골과 1963개 어시스트로 2857포인트를 기록하여 ‘The Great One(위대한 선수)’, ‘살아 있는 신화’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NHL 거의 모든 부문에서 역대 최고의 기록을 남기고 1999년 유니폼을 벗은 그레츠키는 은퇴와 동시에 NHL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02년 동계 올림픽에 캐나다 대표팀 감독을 맡아 미국을 꺾고 50년 만에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성화 봉송 최종 주자로 활약하였다.

웨인 그레츠키
웨인 그레츠키
‘슈퍼마리오’ 마리오 르뮤(Mario Lemieux, 캐나다, 1965. 10. 6~ )

고디 하우와 웨인 그레츠키를 잇는 NHL 슈퍼스타이다. 피츠버그 펭귄스의 구단주 겸 선수로 활약하며 흔히 ‘슈퍼마리오’로 불렸다. NHL 정규 시즌에서 690골, 1033어시스트, 플레이오프에서 76골 96어시스트를 기록하였다. 스탠리컵 우승 2회, 득점왕 6회, 올스타 선정 9회, 정규 시즌 MVP 3회, 2002년 올림픽 금메달 등 화려한 경력을 자랑한다.

마리오 르뮤
마리오 르뮤
올림픽 4연패 신화 헤일리 위큰하이저(Hayley Wickenheiser, 캐나다, 여, 1978. 8. 12~ )

1998년 나가노 올림픽부터 2014년 소치 올림픽까지 다섯 번의 올림픽에서 금메달 4개, 은메달 1개를 획득하였다.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금메달 7개, 은메달 6개를 획득하였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캐나다 소프트볼 팀으로 참가하기도 하였으며, 2014년에는 IOC 선수위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캐나다 여자 팀을 올림픽 4연패에 올려 놓은 헤일리 위큰하이저
캐나다 여자 팀을 올림픽 4연패에 올려 놓은 헤일리 위큰하이저

역대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메달리스트

1920년 7회 안트워프 하계 올림픽(벨기에)
경기 종목
남자부 캐나다 미국 영국
1924년 1회 샤모니 동계 올림픽(프랑스)
경기 종목
남자부 캐나다 미국 영국
1928년 2회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스위스)
경기 종목
남자부 캐나다 스웨덴 스위스
1932년 3회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미국)
경기 종목
남자부 캐나다 미국 독일
1936년 4회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동계 올림픽(독일)
경기 종목
남자부 영국 캐나다 미국
1948년 5회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스위스)
경기 종목
남자부 캐나다 체코 스위스
1952년 6회 오슬로 동계 올림픽(노르웨이)
경기 종목
남자부 캐나다 미국 스웨덴
1956년 7회 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이탈리아)
경기 종목
남자부 소련 미국 캐나다
1960년 8회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미국)
경기 종목
남자부 미국 캐나다 소련
1964년 9회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오스트리아)
경기 종목
남자부 소련 스웨덴 체코
1968년 10회 그르노블 동계 올림픽(프랑스)
경기 종목
남자부 소련 체코 캐나다
1972년 11회 삿포로 동계 올림픽(일본)
경기 종목
남자부 소련 미국 체코
1976년 12회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오스트리아)
경기 종목
남자부 소련 체코 독일
1980년 13회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미국)
경기 종목
남자부 미국 소련 스웨덴
1984년 14회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유고슬라비아)
경기 종목
남자부 소련 체코 스웨덴
1988년 15회 캘거리 동계 올림픽(캐나다)
경기 종목
남자부 소련 핀란드 스웨덴
1992년 16회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프랑스)
경기 종목
남자부 독립국가연합 캐나다 체코
1994년 17회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노르웨이)
경기 종목
남자부 스웨덴 캐나다 핀란드
1998년 18회 나가노 동계 올림픽(일본)
경기 종목
남자부 체코 러시아 핀란드
여자부 미국 캐나다 핀란드
2002년 19회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미국)
경기 종목
남자부 캐나다 미국 러시아
여자부 캐나다 미국 스웨덴
2006년 20회 토리노 동계 올림픽(이탈리아)
경기 종목
남자부 스웨덴 핀란드 체코
여자부 캐나다 스웨덴 미국
2010년 21회 밴쿠버 동계 올림픽(캐나다)
경기 종목
남자부 캐나다 미국 핀란드
여자부 캐나다 미국 핀란드
2014년 22회 소치 동계 올림픽(러시아)
경기 종목
남자부 캐나다 스웨덴 핀란드
여자부 캐나다 미국 스위스
2018년 23회 평창 동계 올림픽(한국)
경기 종목
남자부 러시아 선수들 독일 캐나다
여자부 미국 캐나다 핀란드
2022년 24회 베이징 동계 올림픽(중국)
경기 종목
남자부 핀란드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슬로바키아
여자부 캐나다 미국 핀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