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9회 베이징 올림픽 (2008년)

제29회 베이징 올림픽 (2008년)

다른 표기 언어 Beijing Olympics 동의어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 Summer Olympics
요약 테이블
개최지 중국 베이징
대회 기간 2008년 8월 8일 ~ 8월 24일
대회 규모 204개국 선수 10,942명
주경기장 베이징 국가 체육장
종목 28개 경기종목 302개 세부 종목 (근대5종, 농구,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사격, 사이클, 소프트볼, 수영, 승마, 야구,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등)
최다 금메달리스트 마이클 펠프스(미국, 수영 금 8)
한국 선수단 규모 선수 267명, 임원 122명
한국 참가 종목 근대5종, 농구, 레슬링, 배드민턴, 복싱, 사격, 사이클, 수영, 승마, 야구,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한국 순위 7위(금 13, 은 10, 동 8)
사이트 https://www.olympic.org/beijing-2008/

요약 2008년 중국의 수도 베이징에서 열린 대회로 올림픽 사상 최다인 204개국 1만 60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중국에서 행운의 숫자로 여겨지는 8이 많이 들어간 2008년 8월 8일 오후 8시에 개막하였으며, 28개 종목에 302개의 금메달을 놓고 실력을 겨루어 개최국 중국이 금메달 51개로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우리나라는 금메달 13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8개를 획득하며 세계 7위에 올랐다. 남자 수영의 마이클 펠프스(금 8), 육상의 우사인 볼트(금 3) 등 새로운 스타가 대거 등장한 대회이다.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메달 순위

순위

나라명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합계

1

중국

51

21

28

100

2

미국

36

38

36

110

3

러시아

23

21

28

72

4

영국

19

13

15

47

5

독일

16

10

15

41

6

오스트레일리아

14

15

17

46

7

대한민국

13

10

8

31

8

일본

9

6

8

25

9

이탈리아

8

10

10

28

10

프랑스

7

16

17

40

11

우크라이나

7

5

15

27

12

네덜란드

7

5

4

16

13

자메이카

6

3

2

11

14

스페인

5

10

3

18

15

케냐

5

5

4

14

16

벨라루스

4

5

10

19

17

루마니아

4

1

3

8

18

에티오피아

4

1

2

7

19

캐나다

3

9

6

18

20

폴란드

3

6

1

10

21

노르웨이, 헝가리

3

5

2

10

23

브라질

3

4

8

15

24

체코

3

3

0

6

25

슬로바키아

3

2

1

6

26

뉴질랜드

3

1

5

9

27

그루지아

3

0

3

6

28

쿠바

2

11

11

24

29

카자흐스탄

2

4

7

13

30

덴마크

2

2

3

7

32

몽골, 태국

2

2

0

4

33

북한

2

1

3

6

34

스위스, 아르헨티나

2

1

2

5

36

멕시코

2

0

1

3

37

터키

1

4

3

8

38

짐바브웨

1

3

0

4

39

아제르바이잔

1

2

4

7

40

우즈베키스탄

1

2

3

6

41

슬로베니아

1

2

2

5

42

불가리아, 인도네시아

1

1

3

5

44

핀란드

1

1

2

4

45

라트비아

1

1

1

3

46

도미니카, 벨기에,

에스토니아, 포르투갈

1

1

0

2

50

인도

1

0

2

3

51

이란

1

0

1

2

52

바레인, 카메룬,

튀니지,파나마

1

0

0

1

56

스웨덴

0

4

1

5

57

크로아티아, 리투아니아

0

2

3

5

59

그리스

0

2

2

4

60

트리니다드토바고

0

2

0

2

61

나이지리아

0

1

3

4

62

세르비아,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0

1

2

3

65

모로코, 바하마, 알제리, 콜롬비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0

1

1

2

71

남아공, 말레이시아, 베트남, 수단,

싱가포르, 아이슬란드, 에콰도르, 칠레

0

1

0

1

79

아르메니아

0

0

6

6

80

대만

0

0

4

4

81

모리셔스, 몰도바, 베네수엘라, 아프가니스탄,

이스라엘, 이집트, 토고

0

0

1

1

개요

일본과 한국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세 번째로 열린 올림픽으로 204개국이 참가하여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졌다. 여느 올림픽보다 많은 나라가 참여하였기에 메달도 사상 최다인 80여 개국이 골고루 차지하였으며, 마이클 펠프스(수영), 우사인 볼트(육상) 등 그간 볼 수 없었던 초인적인 스타들도 등장하였다. 중국이 금메달 51개로 미국 36개를 따돌리고 처음으로 최다 금메달 획득 국가가 되었고, 대신 미국은 총 110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최다 메달을 수확하였다. 우리나라는 역대 최다인 13개의 금메달을 차지하며 종합 7위에 올라 스포츠 강국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스타 탄생의 올림픽

1964년 도쿄와 1988년 서울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세 번째로 열린 올림픽으로 중국인들이 행운의 숫자로 여기는 ‘8’이 많이 들어간 2008년 8월 8일 오후 8시에 개막식을 열었다.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One world, One dream)’을 주제로 삼았으며, 엠블럼은 ‘춤추는 베이징’을 형상화하였다. 또 마스코트는 복덩어리를 뜻하는 ‘푸와(福娃)’였다.

전 세계 204개국 10,901명이 참가하여 올림픽 사상 최대 규모였으며, 28개 종목에 걸린 금메달도 302개로 역대 최다였다. 이중 중국이 체조 9개, 역도 8개, 다이빙 7개, 탁구 4개 등을 휩쓸며 금메달 51개로 1위에 올랐고, 미국이 수영 11개, 육상 7개 등을 따내며 36개로 뒤를 이었다. 러시아는 레슬링에서 6개를 따내는 등 23개로 3위에 올랐고, 영국은 사이클 8개, 요트 4개 등 19개로 4위를, 차지하였다. 특히 미국의 독무대였던 육상에서 우사인 볼트가 이끄는 자메이카가 6개의 금메달을 가져갔으며, 중장거리에서 에티오피아와 케냐가 4개씩의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또 수영 역시 미국이 11개로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나 오스트레일리아도 6개를 따내며 종합 순위 6위의 밑거름이 되었다.

우리나라는 올림픽 출전 사상 처음으로 박태환이 남자 수영 4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며, 야구도 9전 전승으로 완벽한 금메달을 따냈다. 태권도는 4체급 모두 독식하였으며, 장미란은 여자 역도 75kg 이상급에서 세계 신기록을 수립하며 금메달을 따냈다. 이밖에도 양궁 2개, 배드민턴 1개, 사격 1개, 역도 추가 1개 등 모두 13개의 금메달을 획득하여 종합 순위 7위에 올랐다.

9전 전승 우승의 신화를 이룬 한국 야구
9전 전승 우승의 신화를 이룬 한국 야구

여느 올림픽에 비하여 스타도 많이 배출되었는데, 미국의 마이클 펠프스는 남자 수영 사상 최초로 8관왕에 올라 전 세계를 놀라게 하였으며, 미국의 우사인 볼트는 육상 100m와 200m, 400m 릴레이에서 각각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세계 최고의 스프린터에 올랐다. 영국의 사이클 영웅 크리스 호이는 사이클 3관왕에 올라 지난 2004년 대회 1개를 보태어 금메달 4개를 획득하였다. 크리스 호이는 또한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도 2개의 금메달을 획득, 영국 역사상 최다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이밖에도 중국의 조카이는 남자 체조에서 3관왕, 오스트레일리아의 스테프 라이스는 여자 수영에서 3관왕에 올랐다.

남자 수영 8관왕에 오른 마이클 펠프스의 역영 장면
남자 수영 8관왕에 오른 마이클 펠프스의 역영 장면

베이징 국가체육장

베이징 국가체육장
베이징 국가체육장

2002년 공모를 통하여 설계를 한 종합 경기장으로 모습이 새 둥지를 닮아 ‘새둥지’라고도 한다. 올림픽 개막식 때에는 9만 명 이상을 수용하였으나 이후 조정하여 현재는 8만 명을 수용한다. 201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경기장으로 사용하였으며, 향후 2022년 동계 올림픽 주경기장으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올림픽 이슈

푸와는 ‘베이징환잉니’

베이징 올림픽 마스코트 푸와는 한 개가 아니라 다섯 개의 캐릭터이다. 베이베이와 징징, 환환, 잉잉, 니니의 다섯 가지로 각각 물고기, 판다, 성화, 영양, 제비를 형상화한 것이며, 번영과 행복, 열정, 건강, 행운을 상징한다. 그런데 이 캐릭터들의 앞 글자들을 이으면 ‘베이징환잉니’가 된다. 이는 ‘베이징이 당신을 환영합니다’라는 뜻이다. 베이징 올림픽의 주제가 제목 역시 ‘베이징환잉니’였다.

한국어도 공식 통역 언어로

한국어가 올림픽 사상 최초로 올림픽 대회 공식 통역 언어가 되었다. 통역 언어란 실시간으로 일어나는 올림픽 관련 행사 전반에 관해서 영어나 프랑스어 등 IOC 공식 사용 언어 외에 통역 서비스가 제공되는 언어를 말한다. 주요 순위 선수들의 인터뷰와 올림픽 위원회의 기자 회견을 실시간으로 한국어 통역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리게 된 것이다. 앞으로도 계속 될지는 알 수 없다.

8이 왜 이렇게 많아?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은 2008년 8월 8일, 그리고 오후 8시에 열렸다. 이는 중국인들이 예로부터 8은 돈을 번다는 뜻의 ‘파차이’와 발음이 비슷하여 가장 좋아하는 숫자이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2008년을 뜻하는 2008명이 나와 드럼을 치며 빛을 내 카운트를 하였으며, 중간에는 중국 소수민족의 수를 뜻하는 56명의 어린이들이 전통 의상을 입고 노래를 불렀다. 그런데 이 56명은 모두 한족이었다고 한다.

마린보이 박태환 세계를 놀라게 하다
박태환
박태환

수영 자유형 경기는 한국은 물론 아시아 국가들이 감히 정상을 넘볼 수 없는 난공불락으로 여겨졌다. 그 편견을 박태환이 남자 자유형 400m에서 우승하며 깼다. 아시아에서 올림픽 수영 자유형 우승자가 나온 것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자유형 1500m에 출전한 데라다 노보루(일본) 이후 72년 만에 처음이었다. 세계 언론은 박태환의 우승 소식을 앞 다투어 전했다. 박태환은 200m에서도 은메달을 추가하였다. 이로써 박태환은 올림픽, 세계 선수권, 아시안 게임을 모두 제패하며 그랜드슬럼을 달성했다.

올림픽 영웅들

올림픽 18관왕 수영 황제, 마이클 펠프스(Michael Phelps, 미국, 1985. 6. 30)
마이클 펠프스(Michael Phelps)
마이클 펠프스(Michael Phelps)

수영 역사상 최고의 자리에 오른 수영 황제. 2004년 아테네 올림픽 6관왕에 이어 2008년 베이징 올림픽 8관왕에 올랐으며,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도 4관왕에 올라 총 18관왕이다. 은메달과 동메달까지 합쳐서 총 22개의 메달을 획득해 올림픽 역사상 최다 메달 수상자가 되었다. 리우 올림픽에도 출전하는데 과연 몇 개의 메달을 더 딸지 귀추가 주목된다.

아프리카의 인어공주 코벤트리(Kirsty Coventry, 짐바브웨, 여, 1983. 9. 16)

여자 배영 2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연패를 이루어 짐바브웨 최고 영웅으로 떠올랐다. 코벤트리는 또 2004년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한 데 이어 이번 대회에서도 은메달 3개를 획득하여 총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였다.

사이클 영웅 크리스 호이(Chris Hoy, 영국, 1976. 4. 23)
크리스 호이(Chris Hoy)
크리스 호이(Chris Hoy)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때 사이클 남자 1000m 추발에서 금메달을, 스프린트 단체에서 은메달을 따냈으며, 이번 대회에서는 스프린트와 경륜, 팀 스프린트에서 우승하며 3관왕에 올랐다. 또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경륜과 스프린트 단체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올림픽 사이클 역사를 새로 썼다.

사상 최고의 스프린터 우사인 볼트(Usain Bolt, 자메이카, 1986. 8. 21)
우사인 볼트(Usain Bolt)
우사인 볼트(Usain Bolt)

자메이카가 낳은 세계 최고의 스프린터로 남자 육상 100m에서 9초 69, 200m 19초 30으로 각각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하였다. 또한 동료들과 함께 400m 계주에서도 37.10의 세계 신기록으로 우승 대회 3관왕을 차지하였다. 우사인 볼트는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도 같은 종목에서 3관왕을 이루어 역사상 최고의 스프린터로 등극하였다.

남자 체조 3관왕 조카이(Zou Kai, 중국, 1988. 2. 25)
조카이(Zou Kai)
조카이(Zou Kai)

남자 체조에서 3관왕을 차지하였으며,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도 금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추가하였다. 이 대회에서는 남자 마루운동과 철봉, 단체 종합에서 우승하였고, 2012 올림픽에서는 마루운동과 단체 종합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수영 3관왕 스테프 라이스(Steph Rice, 오스트레일리아, 여, 1988. 6. 17)

여자 혼계영의 최강자로 200m, 400m를 제패하였다. 200m는 2분 08초 45로, 400m는 4분 29초 45로 각각 세계 신기록을 작성하였다. 또 자유형 800m 릴레이에서도 우승하며 대회 3관왕에 올랐다.

대한민국 성적

한국 스포츠 사상 수영에서 메달을 따낸 대회로 박태환이 남자 자유형 400m에서 금메달, 2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야구에서는 예선전부터 전승으로 금메달을 차지하였으며, 태권도 4종목 석권과 메달박스인 양궁과 역도에서도 금메달 2개씩을 획득, 총 금메달 13개로 종합 순위 7위의 쾌거를 이루었다. (- > 베이징 올림픽 대한민국 성적 보기)

종 목

세부 종목

메달

선수

레슬링

남자 그레코 55kg

동메달

박은철

배드민턴

혼합 복식

금메달

이용대 이효정

여자 복식

은메달

이경원 이효정

남자 복식

동메달

이재진 황지만

복싱

남자 69kg 이하급

동메달

김정주

사격

남자 50m 공기권총

금메달

진종오

남자 10m 공기권총

은메달

진종오

수영

남자 400m 자유형

금메달

박태환

남자 200m 자유형

은메달

박태환

야구

남자

금메달

김현수 외 23

양궁

남자 단체

금메달

임동현 박경모 이창환

여자 단체

금메달

박성현 윤옥희 주현정

남자 개인

은메달

박경모

여자 개인

은메달

박성현

여자 개인

동메달

윤옥희

역도

남자 77kg

금메달

사재혁

여자 75kg 이상급

금메달

장미란

여자 53kg 이하급

은메달

윤진희

여자 48kg 이하급

동메달

임정화

유도

남자 60kg 이하급

금메달

최민호

남자 73kg 이하급

은메달

왕기춘

남자 81kg 이하급

은메달

김재범

여자 78kg

동메달

정경미

체조

남자 평행봉

은메달

유원철

탁구

남자 단체

동메달

유승민 오상은 윤재영

여자 단체

동메달

김경아 박미영 당예서

태권도

남자 68kg 이하급

금메달

손태진

남자 80kg 이상급

금메달

차동민

여자 57kg 이하급

금메달

임수정

여자 67kg 이하급

금메달

황경선

펜싱

여자 플뢰레

은메달

남현희

핸드볼

여자

동메달

오성옥 외 13

대한민국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