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막

가슴막

[ pleura ]

요약 흉벽, 가로막 및 종격동의 표면을 둘러싸는 벽쪽 가슴막과 폐를 둘러싸는 허파쪽 가슴막으로 구분
계통 호흡기계

정의

가슴막은 2겹의 장막으로 흉벽, 가로막(횡격막) 및 종격동의 표면을 둘러싸는 벽쪽 가슴막(parietal pleura)과 폐를 둘러싸는 허파쪽 가슴막(visceral pleura)이 있다. 이 두 가슴막 사이를 가슴막 공간이라 하는데, 이는 하나의 잠재공간으로 공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폐내압이나 대기압보다 항상 5mmHg 정도 압력이 낮은 음압 상태이므로, 흡기시 폐가 확장할 때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가슴막 공간 안에는 5~10ml 정도의 윤활액이 소량 있어 호흡시 폐의 확장과 수축에 따른 마찰을 방지하는 윤활제 역할을 한다.

가슴막의 형태

가슴막의 형태

위치

흉벽 안쪽, 가로막 위에 위치한다.

형태 및 구조

가슴막은 중피세포로 구성되었으며 반투명의 매끈한 장막이다. 허파쪽 가슴막과 벽쪽 가슴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벽쪽 가슴막은 위치로 분류하면 가슴막 위막, 갈비 가슴막, 세포칸 가슴막, 가로막 가슴막으로 나뉜다.

기능

폐와 가슴벽 사이의 마찰저항을 줄이는 것이 가슴막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다. 두 겹의 가슴막은 가슴막 공간에 의해 떨어져있으며 소량의 윤활제에 의해 폐의 팽창을 돕는다.

관련 질병

1. 흉수(pleural effusion)
정상인에서는 소량의 체액이 벽쪽 가슴막의 모세혈관에서 흉막 내로 일정하게 생성되어 모세혈관의 정수압과 삼투압의 차이 및 림프관으로의 배출 등을 통해 일정한 양이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생성-흡수 기전에 변화가 생기면 과도한 양의 흉수가 발생하게 되며 흉수는 발생기전에 따라 여출성(transudate)과 삼출성(exudates)으로 나뉘게 된다. 여출성 흉수는 심부전, 신부전, 간경변 등의 전신적 질환에 의한 이차적인 결과로 나타나고 삼출성 흉수는 폐렴, 결핵, 악성 종양 등의 흉막 자체의 문제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2. 기흉(pneumothorax)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가슴막강 안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이다.

3. 유미흉(chylothorax)

4. 혈흉(hemothorax)

5. 흉막염(pleurisy or pleuritis)

관련 검사

가슴천자(thoracentesis), 가슴막생검(pleural biopsy)

관련이미지

흉막(사람)

흉막(사람) 출처: 생명과학대사전

동의어

늑막(肋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