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절

림프절

[ lymph node ]

요약 각종 림프구를 포함한 백혈구가 함유되어 있어 외부 물질 및 비자기로 인식되는 종양에 대한 면역작용을 하는 면역기관의 일종

정의

생체 내에서 전신에 분포하는 면역기관의 일종으로, 내부에 림프구백혈구가 포함되어 있다. 각 림프절은 림프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림프절에서는 림프관을 타고 림프절로 들어온 외부 항체 등에 대한 탐식작용 및 항원제시, 항체생성 림프구의 증식 등 일련의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위치

전신에 분포하나 겨드랑이, 사타구니, 목구멍(인후) 등의 신체 부위에 림프절이 많이 모여 있다.

형태 및 구조

크기가 수 mm에서 1cm 내지 2cm 정도인 조그만 공 모양의 면역기관이다. 섬유성분의 피막에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의 피막은 안쪽으로 함입되어 잔기둥을 형성한다. 림프절의 실질은 내부의 속질(수질)과 바깥쪽의 겉질(피질)로 구성되어 있다. 림프관을 타고 림프절로 들어온 림프액은 처음에 겉질 부위의 피막밑굴(피막하동)을 거쳐 속질 부위의 속질굴(수질동)을 거쳐 림프절을 빠져나가게 된다. 겉질의 바깥쪽에는 주로 B림프구가 모여 있어 외부 항원을 탐지하는 종자중심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겉질의 안쪽에는 T림프구가 주로 모여있는 소포들이 분포되어 있다.

림프절의 구조

림프절의 구조

하위 기관

전신에 약 500개 이상의 림프절이 존재한다. 림프절이 모여있는 부위에 따라 겨드랑림프절(액와림프절), 샅고랑림프절(서혜림프절), 발데이어 편도환(Waldeyer’s ring) 등 구역별로 나누어 구분하기도 한다.

림프절의 종류

림프절의 종류

기능

림프절은 감염 등으로 인체 내에 들어온 병원체를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데 관여한다. 외부항원을 인식한 B림프구는 림프절 겉질의 종자중심에 모여 증식하여 외부항원에 대항할 항체를 생성하고 이러한 림프구의 증식으로 인해 림프절이 커지게 된다. 감기에 걸렸을 때 편도가 붓는 것은 호흡기 바이러스가 목구멍을 통해 몸에 들어오고 이에 대응하여 목구멍 부근에 존재하는 림프절의 일종인 편도 내에서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는 B림프구를 포함한 백혈구가 증식하기 때문이다.

관련 질병

악성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급만성 림프구백혈병, 감염증, 악성종양 등

관련 검사

신체검진, 조직검사 등

동의어

임파절(淋巴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