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

안구

[ eyeball , 眼球 ]

요약 시각정보를 수집하여 뇌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감각기관
계통 감각계

정의

시각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전기화학정보로 변환하여 시신경이라는 통로를 통하여 뇌로 전달하는 기관이다.

위치

눈 안에 공 모양으로 박혀 있다.

형태 및 구조

안구는 구형으로 각막의 중앙을 전극이라 하고, 공막 후면의 중앙을 후극이라 하며 이 양극을 잇는 가상의 선을 시각축(안축)이라고 한다. 시각축의 길이는 평균 24mm, 폭은 23.6mm, 높이는 23.3mm 이며 안구의 부피는 약 6.5ml이다. 각막은 안구섬유층의 투명한 무혈관 조직으로 안구의 앞 1/6을 덮고 있다.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방어막 역할을 하며 빛을 통과, 굴절시켜 망막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공막은 안구의 뒤 5/6을 덮고 있는 섬유조직으로 바깥눈 근육(외안근)이 부착하는 부위이다.

눈의 구조

눈의 구조

홍채는 포도막의 가장 앞부분에 위치하며 수축성이 있어 눈에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의 역할을 한다. 그 중앙에는 빛이 통과하는 구멍이 있는데 이를 동공이라고 한다.

모양체는 모양체근과 모양체 돌기가 있어 수정체를 변형시켜 조절력을 변화시키는 역할과 방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맥락막은 망막과 공막 사이에 존재하는 적갈색 막으로 혈관으로 차 있다. 망막에 영양을 공급하며 공막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망막은 안구의 내면을 덮고 있는 신경막이다.

눈의 표면 구조

눈의 표면 구조

하위 기관

안구는 외막, 중막, 내막, 안 내용물로 이루어진다.

- 외막 : 무혈관성 섬유층으로 안구의 가장 바깥을 차지한다. 각막공막으로 이루어진다.
- 중막 : 혈관성 조직으로 많은 색소를 포함하며 포도막이라고도 한다. 홍채, 모양체, 맥락막으로 구성되며 망막에 영양을 공급한다.
- 내막 : 맥락막 내면을 덮고 있는 신경조직인 망막으로 구성된다.
- 안 내용물 : 수정체, 유리체, 방수로 이루어져 있다.

기능

눈은 시각정보를 수집하여 뇌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눈의 여러 구조물들이 함께 작용하고 있다. 어떤 물체가 있을 때 시선이 정확히 물체에 맞도록 바깥눈 근육이 작용하여 안구가 움직여야 한다. 또한 적당한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동공의 수축과 확대가 적절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동공의 수축과 확대는 홍채, 모양체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모양체와 수정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이 정확히 망막에 맺히도록 초점이 맞춰진다. 망막에 도달한 시각정보는 시세포에서 전기자극으로 바뀌고 망막의 신경절세포, 신경섬유층을 거쳐 시신경 유두를 통해 시신경으로 전달된다.

관련 질병

당뇨망막병증, 백내장, 건성안, 녹내장, 황반변성, 사시, 굴절이상, 부안검(덧눈꺼풀), 백내장, 미숙아망막병증 등

관련 검사

시력검사, 굴절검사(안경검사), 색각검사, 안압검사, 세극등현미경검사, 안저검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