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기관

근육기관

[ muscular system , 筋肉器官 ]

요약 근육을 기본 조직으로 하여 신체의 움직임과 자세 유지뿐 아니라 여러 장기들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신체기관

정의

근육계는 개체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해부학적인 조직으로, 대부분 신경조직을 통해 조절되나 심장을 구성하는 근육 조직은 자율적으로 움직임을 조절하기도 한다.

우리 몸을 구성하는 근육계는 크게 구조적인 면에서 사지와 몸통 등에서 피부 바로 밑에 있으면서 뼈와 뼈 사이에 붙어 있는 골격근육, 심장벽을 이루고 있는 심장근육, 위·방광·자궁 등의 벽을 이루고 움직임을 조절하는 내장근육으로 나눌 수 있다.

구성요소

근육의 경우 크게 가로무늬근과 민무늬근으로 분류되고, 그 위치에 따라서 골격근육, 내장근육, 심장근육으로 나뉜다.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서 맘대로근(수의근)과 제대로근(불수의근)으로 나뉘기도 한다.

1. 형태학적 특성에 따른 구분

(1) 가로무늬근
광학현미경으로 근육세포를 관찰하면 밝고 어두운 띠가 교대로 배열되어 나타나는 가로무늬가 보이는 근육으로 골격 근육, 심장 근육이 이에 속한다.

(2) 민무늬근
가로무늬가 관찰되지 않는 근육으로 내장기관의 활동을 담당하여 내장근육이라고도 말한다. 혈관과 소화관벽을 형성하는 불수의근으로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근육의 종류

근육의 종류

2. 근육조직의 위치와 기능에 따른 구분

(1) 골격근육
신체의 형태 유지와 움직임에 담당하는 근육으로 가로무늬근육으로 구성되며 맘대로근이다.

(2) 내장근육
내장 기관들의 구조와 움직임을 담당하는 근육으로 민무늬근육으로 구성되며 제대로근이다.

(3) 심장근육
심장의 운동기능을 담당하는 근육으로 가로무늬근육과 민무늬근육이 동시에 존재하며 제대로근이다.

골격근육의 분포

골격근육의 분포

3. 근육조직의 기능적 특성에 따른 구분

(1) 맘대로근(수의근)
자신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는 근육이다. 운동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근육으로 골격근육이 이에 속한다.

(2) 제대로근(불수의근)
자신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는 근육이다.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심장근육과 내장근육이 이에 속한다.

골격근육의 모양에 따른 구분

골격근육의 모양에 따른 구분

하위 기관

- 근육 : 근육은 근육 세포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조직으로 수축 운동을 통해 이동과 자세유지, 체액분비 등을 담당하는 신체기관이다.
- 결체조직 : 근육을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지점에 고정하고 형태를 유지하는 등의 기능을 하는 조직으로 근막, 힘줄 등이 이에 포함된다.

구조

보통 살과 근육이라고 말할 때 근육이 지칭하는 것은 골격근육이다. 골격근육을 구성하는 가로무늬근은 다핵세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발생상에서 여러 개의 세포가 융합하거나 세포질 분열을 하지 않고 핵분열만 하면서 생성된다. 섬유가 매우 길고 수축 속도가 빠르며 큰 힘을 낼 수 있으나 쉽게 피로해지는 맘대로근(수의근)이다. 민무늬근육은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가로무늬가 보이지 않는 근육이다. 심장근육을 제외한 모든 내장근육이 이에 속한다. 수축 속도는 느리나 쉽게 피로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 제대로근(불수의근)으로 보통 자율신경계를 통해 이중지배를 받고 있다. 작지만 가늘고 긴 방추형의 근육섬유로 이루어지며 타원형의 핵이 중앙부에 위치한다. 보통의 한 개의 핵이 존재하나 드물게 여러 개의 핵이 있기도 한다.

심장근육은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제대로근으로 수축단백질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어서 가로무늬근과 같은 형태를 보이면서 동시에 민무늬근과 같이 하나의 핵을 가진다. 그러나 다른 두 근육과 다르게 짧은 근육섬유들이 여러 갈래로 갈라진 상태로 연결되어 수축과 이완 시에 그 움직임이 심장박동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어떠한 자극이 없이도 자동으로 수축을 반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다른 근육들이 쉬고 있는 중에도 심장은 지속적으로 일하여(혈액을 순환시키는 등) 생명을 유지시킨다.

기능

근육은 수축이라는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부피가 축소되는 것이 아니라 부피를 유지하며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말한다. 이런 수축 기능은 모든 근육에서 일어나지만 수축속도는 골격근육이 가장 빠르고 내장근육순은 매우 느리게 수축한다. 크고 작은 골격근육은 인체 내에 400여 개 이상 존재하고 수축과 이완으로 관절을 움직이며 세밀한 운동부터 빠르고 복잡한 운동까지 가능하게 한다. 심장근육이나 내장근육은 뼈와는 관계없이 내장기관의 벽을 구성한다. 내장근육은 내장 기관 내에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관련 질병

근위축, 근감소증, 근막동통증후군, 근육병, 육종 등

관련 검사

이학적검사, 혈액검사, 근전도, 자기공명영상(MRI), 근육생검 등

동의어

근육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