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증

심근증

[ cardiomyopathy ]

요약 심근증은 다른 심장질환 없이, 심장근육에 이상이 발생하는 여러 질환군을 통칭하며 호흡곤란, 흉통, 두근거림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진료과 순환기내과
관련 신체기관 심장

정의

심근증은 선천성, 판막 질환, 고혈압, 관동맥 질환, 심낭 질환 등 다른 심장 질환 없이, 심장 근육에 이상이 발생하는 여러 질환군을 일컫는데, 호흡곤란, 흉통, 두근거림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심근증은 크게 1차성과 2차성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차성은 주로 심장 근육에 특이적으로 병을 일으키는 경우로 대부분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반면, 2차성은 아밀로이드증(amyloidosis,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조직에 축적되어 조직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질환)과 같이 심근 질환의 원인이 되는 전신 질환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원인을 밝힐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대개 그 형태적인 특징에 따라 확장성, 제한성, 비후성 심근증 세 가지로 나뉜다. 확장성 심근증은 좌심실이 확장되면서 수축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이고, 제한성 심근증은 좌심실벽이 두꺼워지면서 주로 좌심실의 이완기 충만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이며, 비후성 심근증은 좌심실의 일부 또는 전체가 특별한 이유 없이 두꺼워지는 경우이다. 일부 환자에서는 이 세 가지 형태 중 두 가지가 한꺼번에 나타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최근에는 허혈성 심질환, 판막 질환에 의해 심기능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궁극적으로는 1차성 심근증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게 되므로 허혈성 심근증, 판막성 심근증과 같은 진단도 흔히 사용된다.

심근증

심근증

하위질병

확장성 심근증, 비후성 심근증, 제한성 심근증

관련이미지

심장의 구조

심장의 구조 출처: 내 강아지를 위한 질병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