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분해

열분해

[ pyrolysis ]

열분해(pyrolysis, thermal decomposition)는 열에너지에 의해 일어나는 분해 반응이며, 분자의 내부 에너지가 특정 결합의 분해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보다 크면 그 결합이 분해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분해가 일어나는 속도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다. 열적 평형 상태의 물질에서 활성화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를 가진 분자의 비율은 활성화 에너지와 열에너지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서 결정된다.

겉보기에 안정하게 보이는 물질은 대부분 결합 에너지와 활성화 에너지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상온에서는 활성화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를 가지는 분자의 비율이 매우 작다. 열분해가 일어나려면 그 비율이 충분히 클 정도로 온도가 높아야만 한다.

예를 들어 과산화 수소의 산소-산소 결합은 비교적 약한 결합이기 때문에 상온에서의 열에너지만으로도 분해가 잘 일어난다. 더욱이 이산화 망간과 같은 촉매를 사용하면 분해가 훨씬 더 빠르게 일어난다. 반면에 물에서 산소-수소의 결합 에너지는 상온의 열에너지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물은 상온에서 열분해되지 않는다.

목차

열분해 반응의 속도

린데만 메커니즘, RRKM 메커니즘 등의 단분자 반응(unimolecular reaction) 이론으로 특정 에너지 @@NAMATH_INLINE@@ E^*@@NAMATH_INLINE@@에 있어 분해가 일어날 때 반응 속도 상수 @@NAMATH_INLINE@@ k(E^* )@@NAMATH_INLINE@@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열에너지의 분포를 고려하면 특정 온도 @@NAMATH_INLINE@@T@@NAMATH_INLINE@@에서 열분해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 상수 @@NAMATH_INLINE@@ k(T)@@NAMATH_INLINE@@를 계산할 수 있다. 열분해 반응의 속도 상수가 매우 작은 경우에는 반응이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속도 상수가 충분히 큰 경우에만 열분해 반응이 일어난다.

RRKM 이론

특정 에너지를 가진 분자의 단분자 반응속도를 계산하기 위한 이론이다. 이 이론의 개발자인 라이스(Oscar K. Rice), 램스퍼거(Herman C. Ramsperger), 카셀(Louis S. Kassel), 마커스(Rudolph A. Marcus)의 머리글자를 따서 RRKM 이론이라고 부른다. 어떤 분자가 특정 에너지 @@NAMATH_INLINE@@ E^*@@NAMATH_INLINE@@를 가지고 있을 때, 그 에너지에서 특정 결합이 분해되는 반응의 속도 상수 @@NAMATH_INLINE@@ k(E^* )@@NAMATH_INLINE@@를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NAMATH_DISPLAY@@k(E^* ) = \frac{W(E^+ )}{h N^* (E^* )} @@NAMATH_DISPLAY@@

여기서 @@NAMATH_INLINE@@E^+@@NAMATH_INLINE@@는 총 에너지 @@NAMATH_INLINE@@E^*@@NAMATH_INLINE@@에서 분해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뺀 잉여 에너지, @@NAMATH_INLINE@@W(E^+ )@@NAMATH_INLINE@@는 @@NAMATH_INLINE@@E^+@@NAMATH_INLINE@@에서 가지고 있는 상태의 개수, @@NAMATH_INLINE@@h@@NAMATH_INLINE@@는 플랑크 상수, @@NAMATH_INLINE@@N^* (E^*)@@NAMATH_INLINE@@는 @@NAMATH_INLINE@@E^*@@NAMATH_INLINE@@에서 상태 밀도(density of state, 단위 에너지 당 상태의 개수)이다. RRKM 이론에 따르면 총 에너지 @@NAMATH_INLINE@@E^*@@NAMATH_INLINE@@가 클수록 분해 반응의 속도가 빨라진다.

특정 온도에서 열분해 반응의 속도

앞에서 계산한 @@NAMATH_INLINE@@ k(E^* )@@NAMATH_INLINE@@에 그 에너지를 가질 확률인 볼츠만 분포 @@NAMATH_INLINE@@P(E^* )@@NAMATH_INLINE@@를 곱해 모든 에너지에 대해 더해주면, 특정 온도 @@NAMATH_INLINE@@T@@NAMATH_INLINE@@에서의 속도 상수 @@NAMATH_INLINE@@k(T)@@NAMATH_INLINE@@를 계산할 수 있다. 어떤 계가 특정 온도 @@NAMATH_INLINE@@T@@NAMATH_INLINE@@로 표시할 수 있는 에너지 분포를 가지고 있을 때, 이 계에서 분해 반응이 진행되는 속도 상수가 @@NAMATH_INLINE@@k(T)@@NAMATH_INLINE@@이다. 온도 @@NAMATH_INLINE@@T@@NAMATH_INLINE@@가 높아질수록 더 큰 @@NAMATH_INLINE@@E^*@@NAMATH_INLINE@@를 가지는 (따라서 반응 속도가 빠른) 분자들의 분포가 많아지므로, 온도가 높을수록 열분해 반응이 더 잘 일어난다.

@@NAMATH_DISPLAY@@k(T) = \int_{E^* = 0}^{\infty} k(E^* ) P(E^* )\mathrm d E^* @@NAMATH_DISPLAY@@

열분해의 예

열분석법

열분해 반응을 이용하는 열 무게 분석법(thermal gravimetry)을 이용하면 분석 대상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알 수 있다.

크래킹

원유를 분해해서 화학 산업의 주요 원료를 얻어내는 크래킹(cracking)은 대표적인 열분해 반응이다.

합성 가스

석탄이나 바이오매스를 열분해하여 메테인(CH4) 등의 합성가스(syngas)를 생산한다.

그림 1. 열에너지를 얻는 전통적인 열분해 방법. ()

나무를 태워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열분해 반응의 대표적인 예이다.

동의어

열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