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통신 시스템

정보 통신 시스템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

요약 정보를 효과적으로 생산∙가공하여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 구성된 시스템.

인간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보를 생산 및 가공하여 이를 전달하고자 하는 대상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고안된 시스템을 '정보 통신 시스템'이라고 한다. 정보 통신 시스템은 투입(Input), 과정(Process), 산출(Output)의 단계로 진행되며, 이 중 과정(Process) 단계는 다시 생산 과정과 관리 과정으로 구분한다. 

과거의 통신 시스템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전달받기 위한 것으로 대부분 인간과 인간만이 정보를 주고받았으나, 현재는 기술의 발달로 인간과 기계, 기계와 기계가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으로 발전하였다.

정보 통신 시스템의 전 과정

1. 투입(Input)
정보 통신 시스템의 투입 단계란 정보의 생산 및 전달에 필요한 요소 및 자원들을 준비하여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정보 통신에 필요한 요소들은 인적 자원∙지식∙에너지∙재정 등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요소는 정보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통신 매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된다. 인적자원은 취재기자, 네트워크 관련 개발자, 보안 전문가, 프로그래머 등 정보 통신 분야에 필요한 모든 인력이 포함된다. 정보를 가공하고 생산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며, 지식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보가 가공되고 전달될 수 있다. 정보를 가공하고 전달하려면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며, 카메라∙컴퓨터∙영상 장치∙인터넷∙스마트폰 등 각종 장비와 이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재정이 필요하다.

2. 과정(Process)
정보를 생산하고 전달하는 과정은 생산 과정과 관리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생산 과정은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전달 매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가공하고 전송하는 것으로, 정보 수집∙정보 가공 처리∙정보 전달∙정보 수신∙정보 저장(수신 완료)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생산된 정보들은 문자, 동영상,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며 매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되고 저장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의 경우는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마이크 등을 통해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로 바꾸고 이 신호는 방송을 위한 전파와 함께 전송된다. 전송된 전파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같은 수신 장치가 필요하며, 수신 장치는 수신된 전파를 음성∙영상 신호와 전파로 분리한다. 분리된 영상∙음성 신호는 많은 사람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신문, 책자와 같은 인쇄물의 경우 수집된 정보를 종이에 인쇄하고 인쇄된 매체를 유통망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정보를 전달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모든 정보 전달이 인터넷을 매체로 이루어지면서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통해 정보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관리 과정은 투입 요소를 준비하고 생산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정보의 생산과 전달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하고 감독∙통제하는 과정이다.

3. 산출(Output)
정보 통신 시스템의 산출은 정보의 전달과 더불어 전달받은 정보에 의해 일치된 개념을 갖거나 객관적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이다. 정보를 전달받은 사람들은 다양한 현안과 관련된 객관적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통해 지식 또는 사실 관계를 알게 되고, 전달받은 결과를 이용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