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생산량

총생산량

[ gross production mass , 總生産量 ]

요약 생태계에서 광합성이나 화학합성을 하는 독립영양생물에 의한 생산된 화학에너지의 총량.

생태계를 이루는 생산자(producer)는 광합성이나 화학합성을 통해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하여 유기물을 생산하는데, 생산자에 의해서 합성된 유기물 또는 화학에너지의 총량을 '총생산량(gross production mass)' 또는 '1차 총생산(gross primary production, GPP)'이라고 한다. 생산자는 자신이 합성한 유기물의 일부를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한 세포 호흡에 사용하게 되는데, 이처럼 총생산량에서 호흡으로 인한 손실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순생산량(net production) 또는 순1차생산(net primary production, NPP)이라고 한다. 따라서 총생산량은 다음과 같이 순생산량과 호흡량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총생산량 = 순생산량 + 호흡량

순생산량은 생산자의 몸에 저장되기 때문에 생체량의 증가분에 해당한다. 생태계를 이루는 군집 차원에서는 생산자의 순생산량의 일부가 1차 소비자(primary consumer)의 생물에게 피식되는데, 피식되는 양은 먹이사슬의 상위 영양 단계 생물에게 공급될 수 있는 유기물의 증가분에 해당한다. 이때 1차 소비자가 생산자로부터 섭취한 먹이에 포함된 화학 에너지 중에서 소비자의 몸을 구성하는 생체량으로 전환된 총량을 2차 총생산(gross secondary production)이라고 한다.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