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래 중재

또래 중재

[ Peer Mediation ]

요약 학생들 사이에 갈등이나 분쟁이 발생했을 때 또래 학생이 중재자가 되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활동.

학생들 사이에 갈등이나 분쟁이 발생했을 때 또래 학생이 중재자가 되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으로, 갈등을 교사나 학부모의 개입없이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고, 학생들이 상대방의 요구를 수용하는 한편 자신의 요구를 양보하거나 타협하는 과정을 경험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80년대 미국에서 학교 폭력과 청소년 범죄가 증가하면서 청소년 간의 분쟁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 분쟁 해결 과정을 배우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증가하였는데, 이에 또래 중재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 이후 또래 중재를 통해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현재는 상당수의 초중〮고〮등학교에서 또래 조정 등의 분쟁해결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또래 중재자는 교육을 통해 또래 중재자로서의 필요한 기술을 익히고 개인적인 문제나 학교 문제로 고민하는 친구를 도와주는 학생이다. 학교에 따라 모든 학생이 또래 중재자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일부의 학생만 또래 중재자가 되기도 한다. 또래 중재자가 되기 위한 교육은 교사나 상담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교육을 통해 적극적으로 경청하기, 문제 정의하기, 대화 이끌어 가기, 감정 공감하기,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주기, 효과적인 질문과 메시지 전달하기 등의 기술을 갖추게 된다.

또래 중재의 과정은 프로그램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또래 중재자가 또래 중재의 규칙을 설명하기, 문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정의하기, 각 분쟁 당사자가 자기 입장을 설명한 후 또래 중재자가 문제를 다른 시각에서 볼 수 있도록 질문하기, 분쟁 당사자들이 문제 해결 방법을 다양하게 생각하고 서로 합의된 해결방법을 찾아보기, 서로 동의하는 해결방법에 대해 계약서를 작성하고 모두 서명하기, 일정 기간이 지난 후 계약이 유지되는지 중재자에게 다시 보고하기 등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와 관련된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또래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에서 발생하는 폭력과 범죄가 감소하였고, 학생들이 스스로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고 독립성과 도덕성을 함양하며, 또래 중재자로 활동한 학생의 경우 자존감과 학업 성취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조항목

또래 집단

카테고리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