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사회

다문화 사회

[ 多文化 社會 ]

요약 하나의 사회 안에 인종·민족·종교·성·계급 등이 다른 여러 사람들과 그들이 지닌 다양한 문화가 함께 공존하는 것.

다문화 사회는 하나의 사회 안에 인종·민족·종교·성·계급 등이 다른 여러 사람들과 그들이 지닌 다양한 문화가 함께 공존하는 사회이다. 전 세계적으로 교통·통신 발달에 따른 세계화와 개방화로 국가 간 인구이동이 증가하였고, 이에 여러 나라는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며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 발전 이후 3D 업종을 중심으로 외국인 이주 노동자가 급증하였고, 이촌향도에 따른 농촌 지역의 성비 불균형과 낮은 혼인율을 해소하기 위해 국제결혼을 통한 이주 여성이 늘어났으며, 재외 동포, 외국인 유학생 및 북한 이탈 주민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다문화 사회가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문화 사회의 장점으로는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유입으로 국내의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국제 결혼 이주자의 유입으로 인구 감소와 성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농어촌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부여하며, 다양한 문화가 유입되어 문화적 자극을 제공하고, 문화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킨다는 것 등이다. 그러나 원주민과 이주민 간의 언어, 가치관 및 생활양식 등의 차이로 갈등이 발생할 수 있고,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낮은 경제적 지위와 이주민에 대한 편견과 차별로 인한 인권 침해 문제, 일자리를 둘러싼 문제 등 여러 사회·경제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일부에서는 소외된 소수 집단에 의한 범죄 등 외국인 범죄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건전한 다문화 사회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 집단들 간의 차이를 인정하고 서로 존중하면서 공존하는 다문화 주의와 문화 상대주의를 함양하고, 이주민의 문화를 인정하고 존중 등을 바탕으로 하는 다문화 교육을 강화하며,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 교육 지원, 이주자 문화 교육, 이주자 문화 서비스 등 다양한 다문화 정책을 추진하며,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를 반영한 법률과 제도를 마련하는 것 등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