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소비자

[ consumer ]

생태계에서 다른 생물을 먹이로 하는 생물을 말한다. 다른 생물을 먹이로 하는 방식에는 초식(herbivory), 포식(predation), 부생(saprophytism) 등이 있다.

목차

소비자의 분류

에너지와 영양소가 먹이그물에 의해 상위로 이동하는 과정을 통틀어 소비자-자원 상호작용이라고 한다. 이러한 소비자-자원 상호작용에 속하는 포식, 기생, 초식, 부식을 하는 모든 생물을 소비자라 일컫는다. 먼저 포식은 먹이 개체를 잡고, 그들을 개체군으로부터 제거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것을 가리킨다. 포식자의 예로는 매, 거미 등이 있다. 이와 달리 기생은 살아있는 유기체의 일부를 소비한다. 기생은 그 대상(숙주)이 살아 있음을 전제로 한다. 기생생물의 예로는 세균, 회충, 거머리 등이 있다. 초식은 식물 전체나 부분을 섭취하는 것을 말한다. 소비자-자원의 관계에서 봤을 때, 식물의 부분을 섭취하는 사슴과 같은 초식동물들은 기생생물로 작용하며, 식물 전체를 섭취하는 양과 같은 초식동물은 포식자로 작용한다. 부식은 낙엽, 배설물, 사체와 같은 죽은 유기물질을 소비하는 작용이다. 부식생물은 생태계 내 영양소의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소비자-자원 관계에서 자원에 해당하는 개체군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어 부식생물을 일반적으로 소비자보다는 분해자로 분류하고 분해자로서 다룬다.1) 먹이사슬에서 소비자는 영양수준에 따라서 1차 소비자, 2차 소비자, 3차 소비자로 나눌 수 있다. 1차 소비자는 초식동물로 생산자인 식물을 먹이로 한다. 이와 달리 2차 소비자는 육식동물이며, 주로 초식동물을 먹이로 삼는다. 3차 소비자는 1차 소비자와 2차 소비자 등을 모두 먹이로 한다. 초식과 육식을 같이하는 잡식동물은 2차 소비자 혹은 3차 소비자로 분류한다. 1차 소비자의 예로는 여치, 양 등이 있고, 2차 소비자의 예로는 쥐, 두꺼비, 참새 등이 있고, 3차 소비자의 예로는 매, 호랑이, 사람 등이 있다.

생태계의 유지와 소비자의 역할

어떤 개체군의 크기는 그 개체군의 먹이 자원의 수도와 그 개체군을 먹는 소비자의 수도에 영향을 받는다. 한 생태계에서 2차 소비자의 수가 어떠한 이유로 급격히 늘은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이 생태계는 2차 소비자의 밀도 증가로 인해 평형상태가 깨지게 된다. 2차 소비자의 증가에 따라 3차 소비자는 먹이가 늘어 3차 소비자의 수가 늘게 된다. 2차 소비자는 자신을 먹이로 삼는 포식자의 수가 늘음에 따라 수가 감소해 생태계는 안정해진다. 이렇게 어떤 개체군을 먹이로 삼는 소비자에 의해 평형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소비자에 의한 평형’이라고 한다. 2차 소비자의 증가에 따라 2차 소비자의 먹이인 1차 소비자의 수는 감소하게 된다. 2차 소비자의 먹이인 1차 소비자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2차 소비자의 수는 안정된다. 이때 어떤 개체군이 먹이로 삼는 생물에 의해 평형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자원에 의한 평형’이라고 한다. 이렇게 평형으로 돌아가게 작용하는 포식자와 피식자의 수는 변동 주기를 가지며 증가와 감소를 반복한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생태계는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먹이 사슬에서 포식자 개체군에 대한 피식자 개체군의 종이 다양할수록 생태계의 안정성이 높아진다.1)

스라소니(포식자)와 눈신토끼(피식자)에 의한 개체수의 주기적 변동성. (출처: 한국식물학회)

에너지의 흐름과 물질의 순환에서의 소비자의 역할

생태계에서 생물은 기능에 따라서 생산자(producer), 소비자(consumer), 분해자(decomposer)로 나눌 수 있다. 생산자는 광합성을 통해 태양 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함으로써 생태계 내로 에너지를 유입하는 역할을 한다. 소비자는 생산자를 섭취함으로써 생산자가 저장하는 에너지를 사용하여 생명을 유지한다. 분해자는 동식물의 사체를 분해함으로써 에너지를 얻어 생명활동을 한다. 각 생물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호흡을 통해 방출한다. 에너지는 생산자와 소비자와 분해자의 작용에 의해 생태계 내로 유입되고 이동하며 배출된다.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를 통한 에너지의 흐름. (출처: 한국식물학회)

질소는 생물의 유전물질과 단백질을 구성하므로 생물에게 필수적인 물질이다. 하지만 대기중의 질소 기체는 식물이나 동물이 직접 이용 할 수 없다. 질소 기체는 뿌리혹박테리아 등의 세균에 의해 식물이 흡수 할 수 있는 형태의 질소 화합물로 고정되고 식물은 이를 통해 단백질과 유전물질을 합성한다. 소비자는 생산자를 섭취함으로써 몸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한다. 이렇게 소비자는 생태계 내에서 물질을 순환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질소순환의 예. (출처: 한국식물학회)

참고문헌

1. Ricklefs RE (2010) The economy of nature, Ed 6, W. H. Freeman and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