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성장애

양극성장애

[ Bipolar disorder ]

양극성장애는 기분장애(Mood disorder)의 일종으로, 조증(Mania)의 증상이 단독으로 반복되거나, 조증과 우울증(Depression) 증상이 서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조울증으로도 불리었으나, 현재는 양극성장애가 공식적인 병명이다. 양극성장애는 조증과 우울증 증상의 존재 및 심각성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리튬(Lithium)과 같은 약물이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목차

양극성장애의 증상 및 유형

모든 사람이 생활하면서 기분상태의 기복을 겪으나, 그 정도나 기간이 일상생활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하지만, 스스로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기분이 급격하게 변화하거나 그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기분장애로 진단 될 수 있다. 양극성장애는 주요 우울증(Major depressive disorder)과 함께 대표적인 감정질환(Affective disorder) 또는 기분장애이다. 우울증은 식욕감소, 불면증, 피로감, 죄책감, 자살충동 등의 감정이 나타나며 장기간 지속되는 질환이다. 반면, 양극성장애는 조증의 존재 유무에 따라 정의되며, 조증은 아래와 같은 증상을 동반한다.

  • 지나친 자신감 및 자존감
  • 수면에 대한 필요성 감소(잠을 자지 않아도 피로감을 느끼지 않는 상태로 불면증과는 다르다)
  • 말이 많아지고, 말을 많이 하고자하는 감정
  • 사고의 비약 또는 사고가 연달아 일어나는 주관적인 경험
  • 주의력 및 판단력 결여
  • 목표 지향적인 활동의 증가
  • 위험이나 고통을 초래하는 행동에 대한 몰두 및 도전

그림 1. 우울증과 양극성장애. 감정질환 또는 기분장애는 크게 주요 우울증과 양극성장애로 불류된다. 양극성장애는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나, 대체적으로 조증 증상과 우울증 증상이 반복되어 나타난다. (출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현재의 진단기준에 따르면, 양극성장애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 양극성장애 I형: 조증이 주된 증상으로 나타나며, 우울증은 동반되거나 동반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로, 전체 인구의 1% 정도가 겪고 있으며, 남성과 여성에서 비슷한 비율로 발병한다.
  • 양극성장애 II형: 조증이 나타나나 그 정도가 심하지 않아서 판단력이나 일상행동에 지나친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이를 경조증[Hypomania]이라 부른다), 우울증 증상이 동반된다. 전체 인구의 0.6% 정도가 겪고 있다.
  • 기분순환장애(Cyclothymia): 경조증과 함께 약한 수준의 우울증이 반복되어 나타난다.

리튬에 의한 양극성장애 치료

상당수의 정신과 치료제가 우연한 계기로 그 효능이 발견되었는데, 양극성장애 치료제인 리튬도 그러하다. 1940년대에, 호주의 정신과 의사인 존 케이드(John Cade)는 조증 환자의 소변에서 신경활성물질(Psychoactive substance, 즉, 조증의 행동증상을 유발하는 물질)을 추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실험동물인 기니픽에 조증 환자의 소변이나 소변 추출물을 투여하고 행동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여 신경활성물질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이를 위해 특히 요산(Uric acid)에 관심을 가졌으나, 요산은 동물에 투여하기 위한 용액으로 녹이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요산을 대신하기 위해 유사한 성질을 갖으며 용액으로 만들기 쉬운 리튬 요산염(Lithium urate)을 대신 사용하였다. 한데, 놀랍게도 그의 예상과는 달리 리튬 요산염을 투여하였을 때 실험동물은 오히려 더 얌전해 지는 행동을 보였다. 리튬 요산염 뿐 아니라, 리튬이 포함된 다른 화학물질도 유사한 행동변화를 유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존 케이드는 리튬이 이러한 행동을 유발하는 원인이라 결론 내렸다. 또한, 조증 환자에 리튬을 튜여하였을 때, 실험동물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증의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리튬이 양극성장애 증상을 치료하는 구체적인 기전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으나, 신경세포 내부의 다양한 분자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리튬은 1가 양이온(Monovalent cation)으로 신경세포 표면에 있는 나트륨 이온채널(Sodium ion channel)을 통해 신경세포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신경세포 내부에서 리튬은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 inositol, PIP2)의 분해를 억제하며, 아데닐산고리화 효소(Adenylyl cyclase)의 기능을 억제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신경세포의 다양한 기능에 영향을 줄 것이 예상된다. 그럼에도, 리튬이 치료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투약이 필요하며, 따라서 신경세포 및 신경계의 리튬에 대한 적응반응(Adaptive change)이 치료효과를 매개하는데 관여함을 예측할 수 있다.

관련용어

기분장애(Mood disorder), 주요 우울증(Major depressive disorder)

참고문헌

1. Neuroscience : exploring the brain (Bear, Connors, Paradiso저, 4판, Wolters Klu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