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마비

안면마비

[ Facial palsy ]

요약 안면신경의 손상 또는 이상으로 초래된 안면근육의 위약 또는 마비
진료과 신경과
관련 신체기관 얼굴, 목

정의

안면마비란 안면신경의 손상 또는 이상으로 초래된 안면근육의 위약 또는 마비를 일컫는다.

원인

- 선천적인 경우: 아기가 울 때 입이 심하게 돌아가며 사시나 다른 신경마비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 벨 마비(Bell’s palsy): 성인에서 가장 흔한 원인으로 갑자기 입이 돌아가고 안면 표정이 없어지게 된다. 찬 곳에 엎드려 자거나 찬바람을 많이 쏘인 경우, 몸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 때 감기 등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안면신경이 부어오르거나 눌려서 마비 증상을 보이게 되는데 벨 마비인 경우 6개월 이내에 95% 이상에서 완전히 회복된다.

- 안면신경이 시작되는 뇌 안의 문제로 뇌졸중, 뇌종양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 안면신경의 경로인 귀의 바로 뒤 측두골 부위에 종양, 중이염의 후유증이나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염증이 있을 때 마비가 나타난다.

- 교통사고 등으로 얼굴에 손상이 있는 경우 안면신경이 절단되거나 안면골 골절의 후유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증상

안면근육이 작용을 할 수 없어 동측의 표정이 없어지게 된다.
입이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돌아가며 입이 처지고 움직이지 않는다.
뺨과 입 사이의 골이 없어지고 편편해진다.
입술을 꽉 다물 수도 휘파람을 불수도 없고, 음식을 씹을 때 마비된 쪽에 음식이 고여 씹기 불편하며 침이 고이거나 밖으로 흐르기도 한다.
이마에서는 주름이 없어지고 눈썹을 위로 올리지 못하여 앞을 보기가 불편하며, 중년 이후에는 눈썹과 눈꺼풀이 더욱 처지며 나이가 들수록 심해진다.
눈을 완전히 감을 수가 없게 되어 눈을 뜨고자며, 심한 경우 아래 눈꺼풀이 처지거나 뒤집혀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눈이 건조해지고 염증이 생기며, 눈에 먼지나 모래가 들어간 듯한 이물감과 충혈이 생겨 더 진행되면 각결막염, 백내장, 실명까지 이를 수 있다.
눈물이 분비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눈물이 분비되어도 겉으로 흐르는 수가 있다.
일부는 혀의 앞쪽 미각이 없어지고, 청각이 감소하기도 하며 보통 소리도 큰 소리처럼 들려 놀라는 경우도 있다.
안면신경마비로 표정이 없어지기도 하지만 반면 안면신경이 회복되어도 정상적인 안면 근육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근육 경련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진단/검사

안면신경마비의 증상과 형태, 동반된 증상을 참조하여 원인을 밝혀내는데, 신경학적 검사, 뇌와 귀 주위의 컴퓨터 촬영, 근전도 검사 등의 정밀검사를 요한다. 안면신경이 마비된 상태나 예후를 알기 위해서는 안면신경의 근전도 검사가 가장 유용하다. 벨 마비인 경우 대부분 6개월 이내 회복되지만 그 후에도 전혀 회복이 안 되는 경우나, 두통이 심한 경우, 청력이 소실된 경우, 다른 마비 증상이 있거나 반복되는 안면신경마비가 있는 경우에는 필히 그 원인을 찾아보아야 한다.

치료

보존적 치료: 발생 초기에는 약물치료나 근전기 자극 등 보존적 치료를 한다. 안면근육은 안면신경의 자극을 받아 수축하기 때문에 안면신경마비가 6개월 이상 지나면 안면근육도 변성되어 근육이 수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고 안면신경의 재생을 돕기 위하여 안면에 근전기 자극치료를 시행한다.

수술적 치료: 회복이 불가능하거나 완전한 안면신경마비 시에는 수술적 치료를 하는데 그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안면신경을 원상태로 완전 회복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며 주로 눈과 입 주위의 불편함을 제거하는데 목적이 있다. 흔히 하는 수술로는 눈을 감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윗 눈꺼풀에 금 조각을 삽입하여 그 무게로 윗 눈꺼풀이 내려오게 하거나 느슨한 아래 눈꺼풀을 팽팽하게 고정시키고 측두근을 돌려주어 눈을 감기게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눈썹과 눈꺼풀이 처져서 앞을 보기 답답한 경우에 이마나 눈썹을 올려주는 수술을 시행한다. 이밖에 입 모양의 대칭을 이루기 위하여 근육이나 신경의 일부를 절단하는 방법, 늘어진 부위를 당겨주기 위한 근막견인 봉합술, 혀로 가는 신경을 사용하는 신경교차술, 저작근 전이술 등 많은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움직이지 않거나 움직여도 어금니를 물거나 혀를 내미는 등의 부자연스런 동작을 해야만 웃는 모양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의식하지 않고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요즘은 복잡하지만 신경이식술과 근육전이술을 사용한다.

경과/합병증

안면신경마비의 원인에 따라 경과가 달라지며, 벨 마비인 경우 대부분 6개월 내에 회복된다. 그러나 다른 원인이 있는 경우에는 경과가 길어지거나, 합병증이 남을 수도 있다.

관련이미지

출처: 삼성서울병원 건강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