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염구

호염구

[ Basophil ]

조혈모세포는 대체로 두 부류의 전구세포계열로 분화하여, 골수성-적혈구성 공통전구세포(common myeloid-erythroid progenitor: CMP)와 림프구성 공통전구세포(common lymphoid progenitor: CLP)을 생성한다. CMP는 적혈구, 과립구 및 대식세포 등을 생성하고, CLP는 B세포, T세포, 및 NK세포 등을 생성한다. 골수성 세포와 NK세포는 선천성 면역계의 일원이고, 감염이나 다른 자극에 첫번째로 반응하는 세포이다. 림프구는 적응성 면역게의 일원으로서 면역기억을 유발하며 항원에 특이적인 정교한 면역반응을 나타낸다. CMP로부터는 과립구, 단핵세포, 대식세포, 일부 수지상세포 등의 여러 타입의 백혈구가 생성된다.

과립구는 면역반응에서 최일선에서 작용하며 선천성 면역계의 일부로 간주된다. 과립구는 세포의 형태와 이들의 특징적인 세포질 염색 패턴의 차이에 근거하여 호중구, 호염기구, 비만세포, 또는 호산구 등으로 분류되는 백혈구이다.

호염기구는 백혈구의 일종이다. 이들은 혈액 내 전체 백혈구의 약 0.5-1%를 차지하여 과립구 중 가장 적은 비율을 차지하나, 크기로는 가장 큰 과립구이다. 이들은 면역반응 중 염증 작용에 작용하고, 과민증,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꽃가루병 등과 같은 급성 또는 만성의 알러지 질환에도 작용한다. 이들은 대식작용을 수행하고,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히스타민과 세로토닌 등을 생산하고 혈액응고를 억제하는 헤파린도 생산한다.

호염기구의 명칭은 이들이 염기 친화적이고, 염기성 염료에 의해 잘 염색되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목차

구조

호염기구는 염색 후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세포핵이 불분명하게 할 정도로 큰 세포질 과립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염색을 하지 않으면 핵이 관찰되고 이는 대개 두 엽으로 되어 있다. 호염기구는 또 다른 과립구인 비만세포(mast cell)와 형태와 기능이 비슷하여 두 세포 모두 자극을 받으면 분비되는 히스타민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조혈모세포의 다른 전구체 세포로부터 유래하고, 비만세포는 혈액 내에서 순환하지 않고 주로 결합조직 내에 자리 잡고 있다. 다른 모든 순환하는 과립구들과 마찬가지로 호염기구는 필요에 따라 혈액으로부터 조직 내로 불려 올 수 있다.

그림1. 적혈구와 다양한 종류의 백혈구들(from https://www.verywell.com/what-is-eosinophilia-401339 )

기능과 질병

호염기구는 알러지 증상을 포함하여 여러 염증반응에 관여한다. 이들은 혈액응고를 억제하는 헤파린과 혈관확장 효과를 지녀 혈액이 조직 내로 흘러 들어오는 것을 증진시키는 히스타민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또한 진드기 등과 같은 체외기생충이 감염된 부위에 다수로 발견되고, 호산구와 같이 기생충 감염과 알러지 반응에 작용한다. 이들은 알러지 반응이 일어나는 조직에서 발견되고 아마도 이의 심각성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호염기구는 세포표면에 IgE에 결합할 수 있는 수용체를 발현하고 있어, 기생충에 대한 방어와 알러지 반응에 작용한다.

호염기구는 세포표면에 CD13, CD44, CD54, CD63, CD69, CD107a, CD123, CD164, CD193/CCR3, CD203a, TLR-4 및 FceRI 을 발현하는 세포로 정의된다.

이들 세포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성숙하고, 활성화되면 히스타민, 헤파린과 콘드로이틴과 같은 프로테오글리칸 및 엘라스타아제와 리소포스포리파제과 같은 단백질분해효소 등을 분비한다. 이들은 또한 류코트리엔과 같은 지질 매개체와 여러 사이토카인도 분비한다. 이들은 모두 염증반응에 기여한다. 최근에는 호염기구가 IgE 항체 생성과 알러지 반응의 발생에 가장 결정적인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4(IL-4)의 가장 중요한 (T세포 보다도) 공급원으로 밝혀졌다.

호염기구감소증(basophenia)는 정상적인 호염기구의 수가 너무 적기 때문에 입증하기가 어렵지만, 자가면역성 두드러기와 관련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고, 호염기구증가증(basophilia) 역시 드물지만 일부 백혈병이나 림프종 형태에서 관찰되고 있다.

관련용어

백혈구, 과립구, 알러지, 염증반응, 비만세포, 공통전구세포(common myeloid-erythroid progenitor: CMP), 림프구성 공통전구세포(common lymphoid progenitor: CLP), 비만세포(mast cell)

참고문헌

Kuby Immunology (7th ed.)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