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염비브리오균

장염비브리오균

[ Vibrio parahaemolyticus ]

목차

장염비브리오균

그림 1. 장염비브리오균의 전자현미경 사진 (출처: )

표1. 장염비브리오 월별 환자 발생 현황(2013∼2017, 식약처)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748 0 0 0 4 128 9 59 296 218 25 9 0
2013 40 0 0 0 0 0 0 0 40 0 0 0 0
2014 78 0 0 0 0 0 0 4 71 3 0 0 0
2015 25 0 0 0 0 11 0 2 3 0 0 9 0
2016 251 0 0 0 0 117 9 0 48 52 25 0 0
2017 354 0 0 0 4 0 0 53 134 163 0 0 0

※ 장염비브리오는 점차 발생시기가 빨라지며, 5월과 8∼9월에 많이 발생되고 있음

그림 1.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의 특징 (출처: 한국미생물학회)

특징 및 성상

호염성 해수세균으로 그람음성, 통성혐기성 간균이며 혈액한천배지에서 용혈성과 병원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용혈성을 갖는 현상을 가나가와현상(Kanagawa phenomenon: KP)이라 한다. 내열성 용혈독소는 인체 장관세포를 파괴하고 점성을 지닌 혈변이 생긴다.

발생환경

바닷물에 존재하는 식중독균으로 해수온도가 15℃ 이상이 되면 증식하기 시작해서 20~37℃의 온도에서 매우 빠르게 증식하여 3~4시간 만에 100만 배로 증가하여 많은 어패류들에 서식(오염) 가능성이 증가한다. 주요 원인 식품은 바다에서 채취한 어패류(붕장어, 낙지, 전어, 멸치, 오징어, 문어, 주꾸미, 소라고둥, 키조개, 꽃게 등), 생선회 등이며 어패류를 다룬 칼, 도마, 행주 등 조리 기구에 의해서도 교차오염이 된다.

증상

2∼48시간 잠복기를 가지며 상당수의 환자에서 다량의 수양성 설사를 나타내며 미열이 동반될 수는 있으나 고열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다. 일반적으로 탈수에 따른 수분 보충이 잘되는 경우 1~2일 내에 증상이 회복된다. 임상증상은 설사, 복통, 오심, 구토, 발열, 두통 등이고 1/4에서 혈성 또는 점성 설사, 고열, 백혈구 수 치 상승 등 세균성이질과 비슷한 임상양상을 보인다. 감염은 경미하나 치명률은 초기 발병 의 7% 정도 수준이며 잠복기는 4시간-4일이다. 예후(증상결과)로는 대부분 저절로 호전된다.

경로

장염비브리오균이 부착된 어류, 패류, 연체동물 등(표피, 내장 및 아가미 등에 서식) 섭취나 조리한 사람의 손과 기구로부터 2차적으로 다른 식품에 오염되어 발생할 수 있다.

진단과 치료

진단

검체는 대변, 직장채변 등 채취하고 검체는 발명 후 24시간 이내, 항균제 사용 이전에 채취하는 것이 좋다. 장시간 운송이 필요할 때에는 수송용 배지에서, 수 시간 내 실험이 가능할 때는 APW나 TCBS 한천배지에 접종한다.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으로는 검체(대변 등)에서 Vibrio parahaemolyticus 분리동정한다.

치료

대부분 저절로 호전되며 당뇨병, 기저 간질환, 철 과다 상태, 면역저하 등의 기저질환이 있으면 중증 감염이 생길 수 있다. 증세가 심할 경우 수액요법과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예방

어패류 구입 후 신속히 냉장 보관하여 신선도를 유지하여 장염비브리오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어패류는 흐르는 수돗물에 2~3회 정도 잘 씻고, 횟감용 칼과 도마를 구분하여 사용하여 한다. 사용한 조리 기구는 세척, 열탕 처리하여 비브리오균의 2차 오염을 방지한다. 여름철에 특히 노약자의 경우 어패류를 가급적 날로 먹지 말고 가열 조리하여(85℃ 1분 이상) 섭취한다.

집필

이진규/이화여자대학교

감수

석영재/서울대학교

참고문헌

  1.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비브리오균 등 여름철 오염우려 수산물 안전관리 강화), 식품소비안전국 농축수산물 안전과, 2018.5.15
  2. 박석돈.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감염증. 고려의학. 1996
  3. 비브리오패혈증 유행예측사업 결과 보고서. 국립보건연구원. 1994-2003
  4. 질병관리청 전염병정보망 자료
  5. Farmer III JJ, Janda JM, and Birkhead K. Vibrio.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Vol 1. pp 706-718. 8th ed.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ion DC. 2003.
  6. Jagar C, and Schwartz RA. Vibrio vulnificus infection. Emedicin instant access to the minds of medicine. . 2003

동의어

Vibrio parahaemolyticus, 장염비브리오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