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류

정류

[ Rectification ]

정류란 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만드는 작용을 뜻한다.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는 거의 모든 경우 교류의 형태로 공급된다. 그러나 많은 전자기기에는, 그 내부에 직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교류직류로 바꾸는 정류회로가 탑재되어 있다. 정류란 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작용을 말하며, 정류회로를 통하여 교류를 정류하면 맥동전류가 된다. 맥동전류는 이후 평활 회로(smoothing circuit)를 거쳐 전류 크기가 일정한 직류로 변환된다.

그림 1. 이상적인 정류와 실제 정류기에서의 정류

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회로에 인가된 입력 기전력의 방향에 따라 통과하는 전류의 양이 다르게 할 수 있는 소자가 필요하다. 이러한 소자를 정류기라고 부른다. 정류 개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정류기에 입력되는 전압과 정류기를 통과하는 전류의 그래프를 그림 1에 나타내었다. 이상적인 정류기(그림 1의 왼쪽)의 경우, 만약 입력 전압이 원하는 방향, 즉 순방향(그림 1에서는 양의 전압값)으로 걸리면 정류기는 0의 저항을 가진 도체로 작용하여 무한대의 전류값을 보이고, 반대로 입력 전압이 원하지 않는 방향, 즉 역방향(그림1에서는 음의 전압값)으로 걸리면 정류기는 무한대의 저항을 가진 부도체로 작용하여 0의 전류값을 보인다. 결국 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정류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실제 정류관이나 p-n 접합 다이오드와 같은 정류기(그림 1의 오른쪽)의 경우, 순방향 전압에 대한 전류의 의존도가 정류기의 구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역방향의 기전력에 의해서도 일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기본적인 정류기의 기호를 그림 2에 순방향 전류의 흐름과 함께 나타내었다.

그림 2. 정류기의 기본 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