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귀한 보물 창고, 무령왕릉

진귀한 보물 창고, 무령왕릉

진귀한 보물 창고, 무령왕릉 본문 이미지 1

속보입니다. 백제의 땅이었던 공주에서 엄청난 무덤이 발굴되었다고 합니다.

1971년, 백제왕의 무덤이 고스란히 발견되어 수많은 학자들뿐 아니라 세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김역사 기자가 방송 최초로 무덤 발굴 이야기를 취재했습니다!

1. 기적처럼 발견된 무령왕릉

진귀한 보물 창고, 무령왕릉 본문 이미지 2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송산리 무덤군은 백제 왕족의 무덤이 모여 있는 곳입니다.

1971년 7월 5일, 사람들은 이미 조사가 완료된 다른 무덤들이 장마철 폭우로 손상되지 않도록 물 빼는 길을 터주는 공사를 하고 있었죠.

그런데 우연히 무덤의 입구를 막고 있던 벽돌이 보이는 게 아니겠어요? 깜짝 놀란 고고학자들은 그 벽돌을 치워 입구를 열었어요.

공주 송산리 무덤군

공주 송산리 무덤군

2. 원래 모습으로 보존된 무령왕의 무덤

학자들은 무덤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나란히 놓여 있던 돌판 위에 새겨진 글자를 하나씩 읽어 내렸습니다.

진귀한 보물 창고, 무령왕릉 본문 이미지 3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
(寧東大將軍 百濟 斯麻王)

그 글자는 이 무덤의 주인이 바로 백제의 제25대 무령왕이라는 걸 똑똑히 나타내 주고 있었거든요. 지금까지 무령왕릉은 역사의 기록에만 남아 있을 뿐 한 번도 세상에 발견된 적이 없었답니다.

보통 왕족의 무덤 안에는 진귀한 보물이 많기 때문에 도굴꾼들이 노리는 대상이 되곤 해요.

그런데 무령왕릉은 도굴하기 쉬운 무덤 구조였는데도 불구하고, 지금껏 무덤을 파헤치는 사람의 손을 타지 않은 채 원래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어요.

3. 무령왕의 정보가 기록된 진묘수

자, 이제부터 무령왕릉 안으로 직접 들어가 보시겠습니다. 무덤에 들어서면 왕의 무덤을 지키는 ‘진묘수’라는 동물을 만날 수 있어요.

무령왕릉의 진묘수

무령왕릉의 진묘수

진묘수 앞에는 무덤 주인의 정보가 적혀 있는 지석이 두 개 놓여 있지요. 지석에는 무령왕과 왕비가 살아있을 때 사용했던 이름, 사망한 해, 나이 등이 적혀 있어요.

덕분에 무령왕은 언제 태어났는지, 그리고 언제 죽었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유일한 백제의 왕이기도 합니다.

4. 중국 양에서 사용되던 동전이 발견되다

지석 위에는 중국의 양에서 사용하던 오수전이라는 동전 꾸러미가 올려 있습니다. 이를 통해 무령왕이 양과 활발하게 교류를 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이렇게 돈을 올려놓는 까닭은 죽은 사람들이 머나먼 저승으로 떠날 때 여행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예요.

오수전

오수전

5. 벽돌로 층층이 쌓아올려진 무령왕릉 구조

무덤의 방 안으로 들어가 볼까요? 무덤 안은 벽돌로 층층이 쌓아올려진 구조로 되어 있어요.

받침대 위에 두 개의 나무관이 나란히 놓여 있네요. 무령왕의 관은 방의 오른쪽에, 왕비의 관은 왼쪽에 놓여 있지요.

그리고 관 주변에는 다양한 보물이 어지러이 흩어진 채 놓여 있습니다. 옛날 고대 사회에서는 귀한 신분의 사람이 죽게 될 경우, 무덤에 그 사람이 생전에 사용하던 물건과 진귀한 보물을 함께 묻어 주곤 했거든요.

무령왕릉 구조

무령왕릉 구조

6. 기존과 다른 특이한 구조를 가진 무령왕릉

무령왕릉은 다른 백제의 무덤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만들었어요.

첫 번째는 무덤의 양식이 기존과 많이 달라요. 백제의 초기 무덤은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계단식 돌무지무덤이었어요. 그러다 점차 돌로 된 방을 만들고 그 위를 흙으로 덮는 굴식 돌방무덤으로 변해갔어요.

그런데 무령왕릉은 벽돌로 된 방을 만들고 그 위를 흙으로 덮어서 만들었어요. 벽돌무덤은 주로 중국 남조에서 만들던 무덤 양식이에요.

무령왕릉

무령왕릉

7. 백제, 중국, 일본 문화를 하나로 모아 발전된 무령왕릉

무령왕과 왕비의 시신이 담긴 관은 독특한 재질로 되어 있어요. 관의 재질이 ‘금송’이라는 나무로 되어 있는데요.

일본 남부 지역에서만 자라는 독특한 종이예요. 백제와 일본의 교류가 활발했음을 추측할 수 있겠죠?

기적처럼 발견된 무령왕릉은 백제 시대의 아름답고 뛰어난 문화를 알려주었을 뿐만 아니라, 백제+중국+일본 문화를 하나로 모아 더 크게 발전한 모습을 지니고 있어요.

이를 통해 국제 사회 속의 백제의 위치가 얼마나 높았는지를 알 수 있게 해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