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완별록

기완별록

[ 奇玩別錄 ]

『기완별록(奇玩別錄)』은 1865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분량 29면의 필사본 별책이다. 가사의 음보에 맞추어 필사했고 글씨체는 순한글이다. 작품형식은 3·4조 혹은 4·4조의 4음보 가사이며, 내용상의 특징은 송축과 함께 놀이의 양상에 대해 의식적으로 상세하게 묘사한 것이다. 원소장자로는 신암 김약슬 및 나손 김동욱의 인장이 찍혀 있고, 현재 단국대 율곡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기완별록』 작자인 '벽동병imagefont'이 1865년 윤5월 상순에 이 글을 썼다고 했으므로 임금의 친림 행사는 5월 이전에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고종실록』에는 당시 임금이 4월 12일과 25일에 경복궁의 옛터에 거둥한 사실이 나와 있다. 13일에 역사를 시작했으므로 12일의 친림 행사는 그 이전이다. 그런데 서술의 순서를 따르면 시역 후 어느 정도의 작업이 진척된 상황에서 임금의 친림 행사가 거행된 것으로 묘사했으므로, 이 작품은 임금이 경복궁 중건 현장인 경복궁의 옛터에 친히 왕림한 것을 기념하여 거행된 4월 25일의 행사를 보고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기완별록』에는 당시 친림행사에서 연행된 공연장면이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

(1) 각색놀이(雜戱)-약방기생, 대전별감, 나장 및 기찰포교의 가작(假作)놀이. (2) 탈춤놀이-노승, 취발이, 왜장녀. (3) 춤자랑과 소리겨룸. (4) 구경꾼들의 굿보기 실태-아이, 남편, 아내의 일가족 실례. (5) 신구 일꾼 교대 시의 각색놀이. (6) 무동패의 특색 있는 무동놀이. (7) 사냥놀이-무동, 포수, 수할치, 호랑이, 여러 군인. (8) 팔선녀놀이 1-팔선녀, 성진, 금강산무대(假山). (9) 서유기놀이-삼장법사,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 백마. (10) 팔선녀놀이 2-성진이의 거동 비판. (11) 신선놀이-신선, 동자, 선녀(서왕모). (12) 상산사호놀이-네 신선, 선녀, 동자, 유자손. (13) 선동놀이-7-8세가량의 작은 아이, 학. (14) 기생놀이-여복한 남자 연기자. 박쥐우산 등의 소도구. (15) 축사놀이-호녀, 상부. (16) 백자도놀이-제 각기 다른 소도구를 지닌 수많은 어린아이들. (17) 산호-마무리 의식.

참고문헌

  •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태학사, 2002.
  • 윤주필, 「경복궁 중건 때의 전통놀이 가사집 '기완별록'」, 『문헌과 해석』 9, 문헌과 해석사, 1999, 겨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