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자들의 날

죽은 자들의 날

[ Day of the Dead ]

요약 사망한 가족과 친구들을 기억하고, 산 자들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제(祭)를 올리는 멕시코의 국경일(10월 31일~11월 2일)이다. 2008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죽은 자들의 날

죽은 자들의 날

원어명 Día de Muertos
국가 멕시코(Mexico)
지정일 2008년
분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죽은 자들을 기리는 제(祭)는 스페인 식민지 이전부터 존재한 풍습으로 옥수수 수확 시기인 여름이 시작할 무렵에 행해졌으나, 16세기 로마 가톨릭이 도입되면서 만성절 기간에 맞추어 날짜가 변경되었다. 만성절 전야인 할로윈 데이(All Hallows' Eve), 만성절(All Saints' Day), 모든 영혼의 날(All Souls' Day)을 기념하기 위해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3일간 거행된다.

콜로니얼 시대 이전의 멕시코 전통문화 유산과 로마 가톨릭이 합쳐진 싱크리티즘(syncretism) 형태로 발전했다. 죽은 자들이 번영을 가져다준다고 믿기 때문에 조상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정성껏 음식을 준비하는데, 멕시코인들의 주식이었던 옥수수 수확을 기원하는 의식의 의미도 포함된다. 갓 수확한 햇곡식으로 조상께 정성껏 제사를 지내면 자손이 번성한다는 한국의 추석 풍습과 유사하다.

화려한 색깔로 장식한 설탕 해골(sugar skull)과 죽음의 꽃이라고 부르는 마리골드(marigold)를 촛불로 무덤을 장식하는데 이를 오프렌다(ofrenda)라고 하며, 전통 술인 메스칼(mescal), 풀케(pulque) 또는 전통 음료인 아톨레(atole)와 죽음의 빵(Pan de Muerto)이라 부르는 달콤한 번(bun)을 함께 올린다. 죽은 자들의 영혼이 음식의 주요 성분을 섭취한다고 믿어, 의식을 치른 후 산 사람이 제사 음식을 먹어도 영양 가치가 없다고 여긴다. 영혼의 긴 여행에 휴식을 돕고자 묘지에 베개와 담요를 놓고 오기도 하고, 생전에 좋아했던 음식과 음악을 틀고 밤을 지새기도 한다.

이는 아즈텍 신화에서 사후 세계를 관장하는 죽음의 여신인 믹크테카시우아틀(Mictecacihuatl)에게 제사 지내는 전통이 진화한 것이다. 따라서 역사와 전통이 달랐던 멕시코 북쪽 지역에서는 남쪽의 이교도 의식과 가톨릭이 합해진 것으로 여겨 20세기까지도 이 행사를 거부하고 만성절 의식만을 치렀다. 하지만 21세기에 들어 멕시코 정부가 ‘죽은 자들의 날(Día de Muertos)’을 국경일로 선포하면서 교육적인 정책과 함께 멕시코의 전국적인 전통으로 융합하고자 노력하였다. 2008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역참조항목

핼러윈

카테고리

  • > >
  • > >
  • > >

관련동영상

멕시코의 명절, 죽은 자들의 날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