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선
한복에는 버선이 제격
임진년(壬辰年)의 새해가 밝아오려 한다. 설날이 되면 평소에 보지 못하던 진풍경이 벌어진다. 남녀노소할 것 없이 장롱 깊숙이 넣어 두었던 한복(韓服)을 이 날만은 곱게 차려 입고 길거리를 활보하는 것이다. 마치 우리의 전통 의상을 그간 잊은 것은 아니라는 듯이.
한복에는 버선을 신어야 제격이다. 그래야 한복이 지니는 곡선미와 조화를 이루어 제멋이 나고 맵시가 난다. 특히 여성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요사이는 편리함을 좇아 양말을 많이 신지만, 이는 아무래도 한복과 짝이 맞지 않아 보기에 어색하다.
‘버선’을 언제부터 신었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삼국사기』에 의하면 삼국시대에는 이미 신고 있었다. 버선의 모양은 조선의 중기 이전에는 편하게 만들어 신었고, 중기 이후에 단원(檀園)의 풍속화 등에 보이듯 멋을 부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버선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는 용도와 모양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다. 용도에 따른 것으로는 ‘겉버선, 속버선, 덧버선, 길목버선’ 등이 있다. ‘겉버선’은 솜버선 겉에 신는 홑겹으로 된 것이고, ‘속버선’은 솜버선 속에 끼어 신는 것이다. 이에 대해 ‘덧버선’은 버선 위에 덧신는 큰 버선이다. ‘길목버선’은 먼 길을 갈 때 신는 허름한 버선이다. 지난날 먼 길을 가는 길품꾼이나, 일꾼들의 버선에 이런 것이 많았다.
이에 대해 모양에 따른 버선으로는 ‘겹버선, 꽃버선, 누비버선, 뚜께버선, 백릉버선, 솜버선, 수릉버선, 외씨버선, 홀태버선, 홑버선’ 등이 있다. ‘홑버선’은 한 겹으로, ‘겹버선’은 솜을 두지 않고 겹으로 만든 버선이다. ‘솜버선’은 솜을 넣어 두껍게 만든 것이다. ‘꽃버선’은 여러 가지 색깔로 꾸미거나 수를 놓은 것고, ‘누비버선’은 누벼 만든 버선이다.
‘뚜께버선’은 오래 신어 바닥이 다 해어지고 등 부분만 남은 버선이다. 여기 ‘뚜께’란 뚜껑의 방언으로 버선 바닥이 다 해어져 뚜껑과 같이 된 버선이란 말이다. ‘뚜께’의 다른 용례로는 ‘뚜께머리’가 있다. 이는 머리를 잘못 깎아 뚜껑을 덮은 것처럼 층이 진 머리를 가리킨다. ‘백릉(白綾)버선’은 무늬가 있는 흰 색깔의 비단으로 만든 것이다. 이는 호사를 한 것으로 옛날에는 궁중에서나 신던 것이다.
‘외씨버선’은 조지훈의 시 「승무(僧舞)」에 보인다. ‘외씨버선’이란 말이 나오는 「승무」의 앞부분을 보면 다음과 같다.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빈 대(臺)에 황촉(黃燭)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돌아설듯 날아가며 사뿐이 접어 올린 외씨버선이여.//
‘외씨버선’은 승무를 출 때의 예쁜 버선발을 노래한 것이다. ‘외씨버선’은 볼이 외씨처럼 조붓하고 갸름한 버선으로 날렵하고 맵시가 나는 것이다. 버선은 단순히 발을 보호하기 위해서만 신은 것이 아니다. 발의 맵시를 내기 위해서도 신었다. 신이나 버선이나 볼이 넓으면 보기가 싫다. 조붓해야 맵시가 난다. 이는 남자의 고무신과 여자의 고무신을 비교해 볼 때 쉽게 알 수 있다.
‘홀태버선’은 이런 의미에서 ‘외씨버선’과 동류의 것이다. 이는 볼이 좁은 버선을 뜻하기 때문이다. ‘홀태’란 뱃속에 알이나 이리가 들지 않아 배가 홀쭉한 생선을 가리킨다. ‘홀태버선’은 이 ‘홀태’가 비유에 의해 전의된 것이다. ‘홀태바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버선에는 또한 ‘수눅버선, 수버선, 타래버선’이 있는데 이들은 용도와 모양 양쪽에 관련되는 것이라 하겠다. ‘수눅버선’은 누비어 수를 놓은 어린아이의 버선이고, ‘수버선’은 수(繡)를 놓아 만든 젖먹이의 버선이며, ‘타래버선’은 돌 전후의 어린이가 신는 누비버선의 하나다. ‘타래버선’은 양쪽 등에 수를 놓고, 버선코에는 색실로 술을 달았다. 이렇게 우리 조상은 어린 아이의 것은 버선까지도 예쁘게 치장하여 지었다.
버선에는 이 밖에 ‘버선’이란 말이 쓰이지 않은 ‘다로기, 목달이, 오목달이’라는 것도 있었다. ‘다로기’는 피말(皮襪)로, 가죽의 털이 안으로 들어가게 길게 지은 것으로, 추운 지방에서 겨울에 신었다. ‘목달이’는 버선목의 안 헝겊이 겉으로 걸쳐 넘어와 목이 된 버선을 말한다. ‘오목달이’는 누비어 지은 어린이의 버선으로, 보통 앞에는 꽃을 수놓고, 목에는 대님을 달았다.
버선의 부위를 가리키는 말로는 ‘버선꿈치, 버선등, 버선목, 버선코’와 같은 말이 있다. 이들은 다 인체에 비유된 이름들이다. ‘버선꿈치’는 발꿈치에 닿이는 버선의 부분이고, ‘버선등’은 발등에, ‘버선목’은 발목에 닿이는 부분이다. 이 가운데 ‘버선목’은 몇 개의 재미있는 속담을 보여 준다. “버선목에 이 잡을 때 보아야 알지”와 “버선목이라 뒤집어 보이나?”라는 것이 그것이다.
앞의 속담은 지금은 모르더라도 장차 거지가 되어 버선목의 이를 잡을 처지가 되면 알게 된다는 말이니, 지금 잘 산다고 너무 뽐내지 말라고 경계하는 말이다. 뒤의 속담은 버선목처럼 뒤집어 보일 수도 없어 답답하다는 말이다. 이는 버선은 만들 때 반드시 뒤집어야 하기 때문에 더 묘미가 있는 속담이다. ‘버선코’는 버선 앞쪽 끝의 뾰족하게 나온 부분이다. 이는 앞쪽에 튀어나와 있어 코에 비유된 것으로, 버선의 어느 부분보다 맵시를 내고, 멋을 부리기 위해 새부리 모양으로 지은 것이다.
이 밖에 버선과 관련된 말 ‘버선발’은 버선만 신고, 신을 신지 않은 발로, 흔히 반가운 사람을 맞을 때 ‘버선발로 뛰어나갔다.’와 같이 연어(連語)를 이루어 쓰인다. 새해에는 버선발로 뛰어나갈 좋은 일이 많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