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타령

흥타령

[ 興打令 ]

요약 ① 충청도민요(忠淸道民謠) 또는 경기민요(京畿民謠)의 한 곡명. 일명 "천안삼거리"(天安三巨里).
② 남도민요(南道民謠)의 한 곡명. 일명 "날개타령."
③ 1920년대 불리던 노래의 한 곡명. 일명 "경성흥타령"(京城興打令)·"서울흥타령."
④ 구전민요(口傳民謠)의 한 곡명.

① (忠淸道民謠) 또는 (京畿民謠)의 한 곡명. 일명 ""(天安三巨里). 이 의 허두(虛頭)가 천안 삼거리여서 충청도민요에 넣었지만, "흥타령"은 서울민요로 볼 수 있다. 장단은 이다.

"천안삼거리"라는 곡명 때문에 "흥타령"이 사람에 따라서 충청도민요로 분류되기도 하고, "흥타령"의 음악이 경기민요와 같이 때문에 경기민요의 한 곡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조선말기 조성하(趙成夏)의 악정(惡政)을 비꼬아서 부른데서 기원했다는 이 노래는 갑오경장(甲午更張) 이후 널리 불렸다고 전한다.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이 노래의 가락은 5음음계(C·E·F·G·B)로 구성됐고, 종지음은 C이다. 5선악보는 『』 권7에 있다. 흥청거리고 흐늘거리는 이 노래의 멋진 가락은 가야금곡 또는 기악합주곡으로 연주되고, 그 음악이 민속무용의 반주곡으로 많이 쓰인다.

"흥타령"이라는 제목의 노래가 다른 지방에도 있기 때문에, 다른 지방의 "흥타령"과 구분짓기 위해서 이 곡을 "천안삼거리"라고 부른다.

1절: "천안삼거리 흥. 능수야 버들은 흥. 제멋에 겨워서 휘늘어졌구나." (후렴) "에로후 좋다 흥. 성화(星火)가 났구나 흥." 2절: "세상 만사를 생각을 하면은 인생의 부영(富榮)이 꿈이로구나." 3절: "백두산 상봉(上峰)에 태극기 날리면, 삼천리 근역(近域)에 새봄이 온다네."

② (南道民謠)의 한 곡명. 일명 "날개타령." 우리 민요에는 흥타령이 세 가지가 있다. 하나는 "천안삼거리"라 불리는 이고, 둘째는 ""라는 서도흥타령이며, 셋째는 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의 흥타령은 사설만이 비슷할 뿐이고, 가락은 서로가 다르다. 흔히 "긴"·""에 이어서 부르는 "흥타령"의 장단은 이고, 가락을 육자배기형이며, 애절하고 한스러운 민요이다.

이 곡은 사람에 따라서 ""이나 ""(報念)과 함께 (南道雜歌)의 한 곡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 노래의 곡명은 다른 지방의 "흥타령"처럼 후렴에서 따다가 붙인 것이다. 다음의 가사는 "남도흥타령"의 가사와 전혀 다르다. 일제강점기에 많이 불린 것으로 보인다.

1절: "무정방초(無情芳草)는 연년(年年)이 오는데, 청춘은 한 번 가면 다시 올 줄 모르는고." (후렴) "아이고 데이고 흥. 성화(星火)가 났네 흥." 2절: "꽃이 고와 춘추단절(春秋斷絶)이요. 우리 인생이 청춘이라도 청춘 한 때뿐이로다." 3절: "떳다 보아라. 종달새는 천장(千丈) 만장(萬丈) 구만장(九萬丈) 떠 너울이 너울이 춤을 춘다."

③ 1920년대 불리던 노래의 한 곡명. 일명 "경성흥타령"(京城興打令)·"서울흥타령." 8분의 6박자에 맞추어 부르는 이 노래의 가락은 4음음계(A·B·D·E)로 구성됐고, 종지음은 D이며, 후렴은 독창과 합창의 교창(交唱)형식으로 연행된다.

1절: "너는 누구며 흥. 나는 누구냐 흥/상산 imagefont에도 조자룡(趙子龍)이라." (후렴) "에라 짓다 흥/경imagefont가 낫네 흥." 2절: "월백 설백에 흥. 뎐디백하니 흥/산심 야심에 imagefont수심이라."

④ 구전민요(口傳民謠)의 한 곡명. 대전·양평·천안·아산·서울·김포·통천·김제·여천·가평·장흥·함안·서산 지방에서 불리던 노래 가사가 채집된 바 있다. 다음은 김제(金堤) 지방의 것이다. 대개 "천안삼거리"의 가사를 바탕으로 새 가사를 덧붙여서 지은 노래들이다.

"벗은 많고 정(情)둘 곳 없으니/이 몸을 장차 귀기다 의탁(依託)할꼬/아이고 대고 성화(星火)가 났네 흥/내가 너더러 사자고/아드동 아드동 하다냐/네가 나더러 사자고/아드동 아드동 졸랏지/ ··· 운운."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6.2524~26쪽
  • 『文藝總鑑』,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년, 284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293쪽
  • 『韓國歌唱大系』 李昌培, 서울: 홍인문화사, 1976년, 822~23, 887쪽
  • 『韓國歌唱大系』 李昌培, 서울: 홍인문화사, 1976년, 附錄樂譜, 197, 246~47쪽

참조어

이야흥타령 , 남도흥타령 , 경성흥타령(京城興打令), 서도흥타령(西道興打令), 자진아리 , 서울흥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