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자배기

육자배기

요약 남도민요(南道民謠)의 한 곡명. 일명 "륙자박이"·"륙자배기"·"육자박이"(六字拍伊)·"긴육자배기"·"날개타령." 전라도의 대표적인 민요.

"육자배기"는 북쪽의 ""(愁心歌)와 함께 한국민요의 쌍벽을 이룬다.

장단은 진양이고, 가락을 육자배기형이다. "육자배기"는 사람에 따라서 (南道雜歌)의 한 곡으로 넣기도 한다. 의 느린 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육자배기"라는 말은 진양조의 한 각(刻)인 여섯 박에 맞추어 노래 부른 데서 기인한다고 한다.

에 맞추어 부르는 "육자배기"를 "긴육자배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긴육자배기"라는 곡명은 빠른 템포의 ""와 명칭상 구분하기 위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일제강점기 불린 "육자배기"의 가사는 '저 건너 갈리봉 ···' 또는 '저 갈미봉 ···'(〈가사 1〉 참조)으로 시작됐다. 근래의 가사는 '산이로구나'로 시작된다(〈가사 2〉). 요사이는 사람에 따라서 "육자배기"의 가락에 ··(沈淸歌)의 한 대목을 그대로 떼다가 붙여서 부르기도 한다.

충청도 서산(瑞山)이나 괴산(槐山) 지방에서는 "육자배기"의 가락에 새로운 가사를 얹어서 부르기도 한다. 그 가사는 지방에 따라서 다르나, 그 가락은 진양조의 전형적인 "육자배기" 가락이다. 남도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잘 나타낸 "육자배기"의 가락 때문에, 그 특유의 가락을 육자배기조라고 부른다. 전라도 지방의 남녀노소에 의해서 널리 불리는 의 대표적인 "육자배기"는 의 대표적인 민요인 "수심가"와 쌍벽을 이룬다.

느린 장단에 구성지게 엮어진 이 노래의 가락은 남도소리의 맛과 멋을 보여주며, 이런 음악적 특징은 경쾌한 경기소리나 구슬픈 서도소리와 대조적인 느낌을 준다. "육자배기"의 가락은 6음음계(E·F·G·A·B·C)로 구성됐다. 주요 음은 남도소리의 전형적인 의 뼈대가 되는 B·E·F의 세 음이고, B음을 심하게 요성(搖聲)하다가 완전4도 상행으로 E에서 끝맺는다. 이러한 육자배기조의 가락은 남도민요뿐 아니라 판소리·산조·무악의 선율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5선악보는 『』 권7에 있다.

〈가사 1〉 1절: "저 건너 갈미봉에 비가 뭇어서 들어를 온다/우장을 두루고 지심 매러 가자." 2절: "천년을 사나 만년이나 사드란 말이냐/죽엄에 들어서 노소(老少)가 있나/생전시절(生前時節)에 내맘대로만 놀가나." 3절: "리별(離別) 마자고 지은 맹서(盟誓)/태산(泰山) 같이 밋고 밋엇드니만은 태산이/허망(虛妄)이 문어질 줄 누가 짐작하얏스랴."

〈가사 2〉 1절: "저 건너 갈미봉에 비가 몰려 들어온다/우장(雨裝)을 두구로 지심 매러 갈거나." 2절: "진국명산만장봉(鎭國名山萬丈峰)이 바람이 분다고 쓰러지며/송죽(松竹) 같은 곧은 절재 매맞는다고 훼절(毁節)할까." 3절: "녹초청강상(綠草淸江上)에 굴레 벗은 말이 되어/때때로 머리 들어 북향(北向)하여 우는 뜻은/석양(夕陽)이 재 넘어가니 임자 그려 우노라."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4.1699~700쪽
  • 『文藝總鑑』,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년, 284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213쪽
  • 『韓國歌唱大系』 李昌培, 서울: 홍인문화사, 1976년, 882~83쪽
  • 『韓國歌唱大系』 李昌培, 서울: 홍인문화사, 1976년, 附錄樂譜, 242~43쪽

관련이미지

출처: 문화원형백과

참조어

자진육자배기 , 육자박이(六字拍伊), 육자배기조, 육자백이, 진양육자배기, 긴육자배기, 륙자박이, 륙자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