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생

악생

[ 樂生 ]

요약 ① 일본에 건너가 활약한 삼국 음악인의 한 부류.
② 조선시대 장악원(掌樂院)의 좌방(左坊) 소속 음악인.
③ 아악대(雅樂隊)의 음악인.

① 일본에 건너가 활약한 삼국 음악인의 한 부류. 나라(奈良 710~794) 시대부터 일본에 건너가 활약한 삼국의 악생은 대보(大寶 701~703) 때 왕립음악기관인 가가쿠료(雅樂寮, Gagakuryō)에 20명, 20명, 그리고 20명 총 60명이었다. 731년(천평 3) 백제악생 26명, 신라악생 4명, 그리고 고려악생 8명으로 변동됐다가 848년(嘉祥 원년) 악제개혁(樂制改革) 이후 백제악생 7명, 고려악생 18명, 그리고 신라악생은 4명은 (百濟樂師)와 4명 및 (新羅樂師) 2명의 지도 아래 음악활동을 전개하였다.

일본에서 활동한 삼국악생의 역사적 변천 일람표

일본에서 활동한 삼국악생의 역사적 변천 일람표
구분 삼국악
백제악 고려악 신라악
악생 악사 악생 악사 악생 악사
연대

702년(大寶 2)

20명

4명

20명

4명

20명

4명

731년(天平 3)

26명

[4명]

8명

[4명]

4명

[2명]

809년(大同 4)

[26명]

4명

[8명]

4명

[4명]

2명

848년(嘉祥 원년) 이전

20명

[4명]

20명

[4명]

20명

[2명]

848년(嘉祥 원년) 이후

7명

[4명]

18명

[4명]

4명

[2명]

② 조선시대 (掌樂院)의 (左坊) 소속 음악인. 조선초기 (右坊) 소속의 (樂工)과 함께 활동한 악생은 아악 연주를 담당한 궁중음악인이었다. 이들은 양인(良人) 중에서 선발됐다.

악생취재(樂生取才) 때 시험은 아악 중 삼성(三聲)과 등가의 노래 및 (文舞)·(武舞)였다. (1469~1494) 때 장악원의 좌방에 (樂師) 2명과 악생 297명 및 보수 100명 총 399명이 있었다. 성종 때 장악원의 좌방에 소속된 악생은 아악 연주를 담당하였다.

악생은 조선 사회의 양인계층에서 선발된다고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규정됐다. 성종 때 악생 399명은 1604년(선조 37) 397명으로 줄었고, 정묘호란(丁卯胡亂 1627) 이후에는 185명으로 감원됐다.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 이후에는 190명이었고, 영조(1726~1776) 때에는 195명이었다.

장악원 악생의 역사적 변천

장악원 악생의 역사적 변천
연대 악공 악생 합계

성종(1469~1494) 때

572명

399명

971명

1604년(선조 37)

427명

397명

924명

정묘호란(1627년) 이후

441명

185명

626명

인조(1623~1649) 때

429명

190명

619명

영조(1724~1776) 때

446명

195명

641명

1904년(광무 원년)

-

-

772명

1907년(융희 원년)

-

-

305명

1910년(융희 4년)

-

-

189명

그러나 병자호란 이후 많이 감원되어 영조(1724~1776) 때 195명이었다. 정조(1776~1800) 때의 『대전통편』(大典通編)에 의하면, 악생은 (典樂)·(典律)·전음(全音) 등의 잡직벼슬을 맡았다. 악생의 잡직은 체아직(遞兒職)으로서 장악원으로부터 1년에 네 차례 추천서로 이조(吏曹)에 보고하여 사령서(辭令書)를 받았다.

③ (雅樂隊)의 음악인. 1913년 아악대를 (李王職雅樂部)로 개칭할 때, 악공과 악생은 (雅樂手)로 개칭됐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4.1454~55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130~31, 212, 322, 551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송방송, 277쪽
  • 『악학궤범용어총람』 송방송, 서울: 보고사, 2010년, 210~1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