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보

악보

[ 樂譜 ]

요약 악곡을 어느 기보법으로 기록한 책. 일명 고악보.

1114년(예종 9) (安稷崇)이 귀국할 때 에서 신악기(新樂器)와 함께 가지고 온 (曲譜) 11책이 악보 관련의 최초 기록이다.

(1418~1450) 때 원나라 (林宇)의 『』(大成樂譜)가 『세종실록』 권137에 전한다. 『세조실록』의 악보 서문에 의하면, 고려 때 (肉譜)로 된 악보가 있었다. 조선시대 수많은 고악보가 현재까지 전한다. 대부분이 거문고악보이고, 양금악보(洋琴樂譜)와 가야금악보(伽倻琴樂譜)도 있으며, 그 이외 (笙簧)·소(簫)·(唐琴)·(琵琶)의 악보도 있다.

1943년 송석하(宋錫夏)가 우리나라 고악보의 해제를 『전변선생환력기념동양음악논총』(田邊先生還曆紀念東洋音樂論叢)에 발표했고, 그 후 (成慶麟)과 (張師勛)이 고악보의 해제를 발표한 바 있다. 그 중의 일부를 제시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조선시대 고악보 일람표

조선시대 고악보 일람표
악보명 편자 연대 소장자 기보법

『世宗實錄樂譜』

실록청(實錄廳)

1454년(단종 2)

서울대도서관

정간보·율자보

『世祖實錄樂譜』

실록청(實錄廳)

1471년(성종 2)

서울대도서관

정간보·오음약보

『時用鄕樂譜』

미상(未詳)

미상

이겸노(李謙魯)

정간보·오음약보

『琴合字譜』

안상(安瑺)

1572년(선조 5)

전형필(全螢弼)

정간보·합자보

『梁琴新譜』

양덕수(梁德壽)

1610년(광해군 2)

이겸노(李謙魯)

정간보·합자보

『玄琴東文類記』

이득윤(李得胤)

1620년(광해군 12)

이병기(李秉岐)

합자보

『琴譜新證假令』

신성(申晟)

1682년(숙종 6)

국립국악원

합자보

『白雲庵琴譜』

미상

미상

이혜구(李惠求)

합자보·육보

『新作琴譜』

미상

미상

장사훈(張師勛)

합자보·육보

『咸陽宅琴譜』

미상

미상

송석하(宋錫夏)

합자보·육보

『大樂後譜』

서명응(徐命膺)

1759년(영조 35)

국립국악원

정간보·오음약보

『遊藝志』

서유구(徐有榘)

정조(1776~1800)

서울대도서관

합자보·육보

『歐邏鐵絲琴字譜』

이규경(李圭景)

순조(1800~1834)

이병기(李秉岐)

율자보

『俗樂源譜』

미상

미상

국립국악원

정간보·율자보

『洪基厚譜』

미상

미상

송석하(宋錫夏)

합자보·육보

『玄琴五音統論』

윤용구(尹用求)

1886년(고종 23)

장서각(藏書閣)

합자보·육보

『三竹琴譜』

미상

미상

국립국악원

합자보·육보

『學圃琴譜』

미상

미상

장사훈(張師勛)

합자보·육보

『西琴譜』

미상

미상

김동욱(金東旭)

육보(양금보)

『一蓑琴譜』

미상

미상

서울대도서관

육보(양금보)

『芳山韓氏琴譜』

한간석(韓玕錫)

1916년

김승식(金昇植)

육보(거문고)

『聖學十圖』

이영재(李寧齋)

1932년

장사훈(張師勛)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4.1450~51쪽

참조어

음악문헌(音樂文獻), 악서(樂書) , 고악보(古樂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