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림사 삼신불괘불도

학림사 삼신불괘불도

[ 鶴林寺 三神佛掛佛圖 ]

요약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학림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도. 2006년 5월 11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2006년 5월 11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129가길 241 (상계동, 학림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 삼신불도
크기 가로 256cm, 세로 443cm

비로자나불·노사나불·석가모니불삼신불 입상(立像)을 화면 가득 그린 괘불도이다. 괘불도(掛佛圖)란 야외법회나 의식 등을 거행할 때 법당 밖에 걸어 놓는 의식용 대형 불화를 말한다. 1749년(영조 25)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으로, 화기(畵記; 그림에 대한 정보를 담은 기록)에는 1774년(영조 50) 중수하여 원통암(圓通庵)에 봉안한 사실이 적혀 있다.  

가로 256cm, 세로 443cm로, 괘불로서는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비단 바탕의 채색화이며, 바탕천은 너비 약 62cm의 비단 4폭을 잇고 왼쪽 가장자리에 너비 약 30cm의 비단을 이어 마련되었다. 

화면은 삼신불 머리 위쪽 구름 부분과 발 아래의 바닥 부분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공간이 삼신불로 꽉 채워져 있다. 가운데의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왼쪽에 노사나불, 오른쪽에 석가모니불이 배치된 구도이다. 비로자나불과 석가모니불은 나발(螺髮; 소라껍데기처럼 말려 있는 머리카락) 머리의 여래형으로, 노사나불은 화려한 보관(寶冠)을 쓰고 몸에 영락(瓔珞; 구슬 장신구)을 두른 보살형으로 묘사되었다.

정면을 바라보며 나란히 선 삼신불은 각기 다른 손 모양을 취하고 있지만 모두 건장한 체구와 녹색의 원형 두광(頭光; 머리에서 발하는 빛)을 지녔고, 가장자리에 꽃무늬를 새긴 붉은 법의를 착용하였다. 색채는 주로 적색과 녹색이 사용되었고, 부분적으로 청색과 백색이 사용되었다. 

18~19세기에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 유행한 삼신불 형식의 괘불도로, 2006년 5월 11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