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암 신중도

지장암 신중도

[ 地藏庵 神衆圖 ]

요약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지장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
지정일 2008년 7월 10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산성곽동길 57-2 (창신동, 지장암)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불화

경기도 광주 영장산(靈壯山) 법륜사(法輪寺, 현재 폐사됨)에 봉안하였던 신중도로서, 사찰 시주자인 강재희(姜在喜)가 1924년에 지장암을 중창하면서 옮겨온 것이다. 1889년에 미타사 대웅전 신중도, 경국사 극락보전 신중도 등을 본보기로 하여 조성하였으며, 금어(金魚) 완송 종현(玩松 宗顕), 완명 응기(玩明 應基), 편수 (片手) 비구 석조(奭照)가 제작하였다.

직사각형의 화면에 범천(梵天)과 제석천(帝釋天), 위태천(韋駄天)을 중심으로 여러 신중들을 표현하였다. 윗부분에는 범천과 제석천, 일월천자, 주악천인(奏樂天人)을 나란히 배치하였는데, 범천과 제석천은 보관을 쓰고 정면을 향해 서서 두 손으로 백련과 모란을 들고 있다. 범천과 제석천 바로 아래에는 일궁천자(日宮天子)와 월궁천자(月宮天子)가 중앙을 향해 서 있다. 이들 주위로는 당(幢)·번(幡) 등을 든 동자와 천인, 악기를 연주하는 동자들이 있다.

화면 아랫부분에는 위태천을 중심으로 천룡팔부(天龍八部)를 그렸다. 위태천은 중앙에 큼직하게 자리하고 있는데, 깃털로 장식한 투구와 갑옷을 입고 오른쪽으로 몸을 약간 튼 채 두 손으로 삼지창을 들고 있다. 얼굴은 둥글며, 이목구비는 가는 선으로 표현하였다. 위태천 좌우로는 부채를 든 산신(山神), 건(巾)을 쓴 조왕신(竈王神) 및 여러 가지 무기를 든 천룡팔부를 배치하였다.

채색은 붉은 색을 주조로 하여 녹색, 청색, 흰색, 황색, 금색 등을 사용하였으며, 무기와 갑옷 등에는 금박을 많이 썼다. 19세기 서울지역 신중도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어 준다. 지장암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다.

 

참조항목

창신동, 신중도

역참조항목

지장암 산신도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