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석장 머리장식

금동 석장 머리장식

[ 金銅錫杖 머리裝飾 ]

요약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금동제 불교유물. 2006년 5월 11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금동 석장 머리장식

금동 석장 머리장식

지정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2006년 5월 11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신림동, 호림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공예 / 복장품
크기 높이 28.6cm

13∼14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금동석장두(金銅錫杖頭)라고도 한다. 높이는 28.6cm이다. 석장(錫杖)은 승려가 지니는 지팡이로 유성장(有聲杖), 지장(智杖), 덕장(德杖), 금석(金錫)이라고도 한다. 밤에 길을 걷거나 걸식할 때 소리를 내어 독사나 독충·소·개 등을 쫓고, 기력이 약해졌을 때 의지하거나 화려하게 장식하여 승려의 위의(威儀)를 표시하기도 하였다.

석장은 장두부(杖頭部)와 병부(柄部: 자루부분)로 나누어지는데, 장두부는 하트 모양의 큰 고리로서 정상이나 고리 안에 보주, 보탑, 불상 등을 조각하고, 큰 고리의 좌우에 6∼8개의 작은 고리를 매달아 소리가 나게 하였다. 병부는 나무를 주로 쓰며 철로 만든 것도 있다.

이 유물은 장두부만 남아 있는데, 병부에 끼워지는 곳은 연꽃 모양이다. 고리 안 장식 앞면에는 천수관음(千手觀音), 양 옆에 제석(帝釋)과 범천(梵天)을 배치하였으며 뒷면에는 삼존불을 새겨넣었다. 고리의 바깥 위에는 5층석탑 형식의 탑을 만들어 올렸고, 큰 고리 양 옆에는 작은 고리 3개가 있다. 2006년 5월 11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