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사 목조삼세불좌상

상원사 목조삼세불좌상

[ 上院寺 木造三世佛坐像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월곡리 1번지 상원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불상. 2007년 1월 19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상원사 목조삼세불좌상

상원사 목조삼세불좌상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2007년 1월 19일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월곡리 1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불상
크기 석가모니불 높이 152cm

석가모니불과 아미타불, 약사불로 이루어진 삼세불상으로서 상원사 대웅전에 주불로 봉안되어 있다. 중앙에는 석가모니불을 안치하고 왼쪽(향좌측)에 약사불, 오른쪽(향우측)에 아미타불을 봉안하였다. 불상들은 각기 수인만 다를 뿐 조각수법과 크기, 상호 등이 서로 비슷하다. 석가모니불은 높이 152cm로 좌우의 두 불상에 비하여 10cm가량 크다.

현 대웅전의 규모에 비하여 불상이 큰 편이어서, 처음부터 이곳에 봉안하였던 것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3번이나 도난당하였다가 되찾아왔으며, 백양사 대웅전에 봉안하려 하였으나 불상이 움직여지지 않아 그대로 두었다고 한다.

인조, 숙종 때인 1623∼1725년에 유행하였던 목조불상의 양식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17세기 중반에 무염파(無染派) 조각가들이 조성한 불상 양식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2007년 1월 19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상원사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상원사 목조삼세불좌상 고창군 상원사에 있는 조선시대 목조불상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고창군 고창읍 월곡리의 상원사 대웅전에 주불로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목조불상으로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약사불의 3개 불상으로 이루어진 삼세불좌상이다.  중앙에는 석가모니불을 안치하고 왼쪽에 약사불, 오른쪽에 아미타불을 봉안하였으며 불상들은 각기 수인만 다를 뿐 조각수법과 크기, 상호 등이 비슷하다. 높이 152cm의 석가모니불은 좌우 불상보다 10cm 큰 정도이다.  1623년∼1725년 기간인 인조, 숙종 때에 유행했던 목조불상의 양식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17세기 중반에 무염파(無染派) 조각가들이 조성한 불상 양식을 충실히 반영한 불상으로 평가된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