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

[ 麗水 興國寺 三藏菩薩圖 ]

요약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에 보관되어 있는 불화. 2009년 3월 20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

지정종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2009년 3월 20일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흥국사길 160(중흥동)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보살도
크기 지장보살도(171.5×212㎝), 천장·지상보살도(292×215㎝)

여수 흥국사에 있는 불화(佛畵)로, 2009년 3월 20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장보살도(171.5×212㎝)와 천장·지상보살도(292×215㎝)로 이루어져 있다. 국내에 남아 있는 삼장보살도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조선 후기의 화승(畵僧)인 의겸(義謙)과 그 제자들이 1741년(영조 17)에 그렸다.

흥국사는 18세기 전반에 대대적인 중수 불사를 하면서 당시 대표적인 화승 의겸을 모시고 많은 불화불사를 진행하였는데 삼장보살도는 그 시기에 조성된 작품이다.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 등이 뛰어나고, 보존상태도 좋다.

참조항목

흥국사, 중흥동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