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신륵사 팔각원당형 석조부도

여주 신륵사 팔각원당형 석조부도

[ Octagonal Base Stone Stupa of Silleuksa Temple, Yeoju , 驪州 神勒寺 八角圓堂形 石造浮屠 ]

요약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부도. 2004년 11월 27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여주 신륵사 팔각원당형 석조부도

여주 신륵사 팔각원당형 석조부도

지정종목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2004년 11월 27일
관리단체 신륵사
소재지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2004년 11월 27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신륵사 경내 서쪽 언덕에 위치한 2기의 승탑 중 하나로, 조사당(祖師堂) 뒤 북쪽 구릉 너머에 있다가 1966년 11월 17일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전체적인 양식과 사리합의 조성 시기 등으로 미루어 조선시대 초반인 1392년경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방형으로 된 지대석 상면에 평면 팔각 형태의 기단부·탑신부·상륜부가 차례로 놓여 있다. 지대석의 하대석은 돌 하나로 만들었으며 8판 복엽의 복련(覆蓮)으로 꾸몄다. 중대석은 낮은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상대석은 8판의 앙련을 조식했다. 탑신부는 평면 팔각 형태이며 옥개석의 하면은 편평하고, 상면에 복발·보륜·보주가 차례로 놓여 있다. 

승탑을 이전할 때 하부와 상대석의 중간에서 수습한 사리합은 뚜껑과 몸체로 구성되며 측면에서 상하에 이르는 면이 둥글다.

참조항목

승탑, 신륵사, 여주시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여주 신륵사 팔각원당형 석조부도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부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95호 신륵사 경내 서쪽 언덕에 위치한 2기의 승탑 중 하나로, 신륵사 조사당 뒤 북쪽 구릉 너머에 있다가 1966년 11월 17일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부도의 전체적인 양식은 비교적 단조롭고, 사리합이 조성된 시기 등으로 미루어 조선시대 초반인 1392년경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누구의 승탑인지 알 수는 없다. 하대석은 8판 복엽의 연잎조각으로 꾸몄고 상대석에는 8판의 연꽃문양을 조각했다. 탑신부는 팔각 형태이며 옥개석 처마에 구름을 조각했다. 상면에는 복발·보륜·보주가 차례로 놓여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