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모봉복합체

관모봉복합체

[ Gwanmobong complex , 冠帽峰馥合體 ]

요약 북한의 개마고원에서 혜산-이원대 동부에 분포하는 선캄브리아 시대의 변성암류를 말한다.

관모봉 복합체는 동쪽의 두만강 습곡대와 수성천 단층으로 경계를 이루고, 서쪽으로 백두산 단층대에 의해 낭림 육괴 중 백두산 화산 대지와 혜산-이원 분지와 경계를 이룬다. 관모봉 복합체는 트라이아스기 화강암류와 고기 변성암류로 구성되며, 주로 무산 지역에 넓은 분포를 보인다.

관모봉 육괴에 산재되어 분포하는 무산층군은 철광상을 함유하고 있는 점에서 중국의 안산층군과 대비되고 안산층군의 동쪽 연장선 상에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부는 흑운모 편마암, 복운모 편마암, 각섬암, 흑운모 편암 및 함철 규암, 석영-운모 편암, 녹니석-흑운모-석영 편암 등으로 구성된다.

함철 규암은 각섬암을 수반하며 괴상 혹은 호상 구조를 보이는데 1~2mm 정도의 자철석 및 적철석과 규암의 엽층이 특징적이다. 석영, 자철석과 적철석이 주성분이고 각섬석 및 휘석류와 알만딘 석류석이 부성분이다.

각섬암은 현무암이 기원암으로 함철 규암과 흑운모 편마암 내에 협재되고, 휘석 각섬암, 석류석 각섬암과 사장석 각섬암 등으로 구분된다.

흑운모 편마암과 복운모 편마암은 유문암질 내지 중성-산성의 응회질 암석이 변성 작용을 받은 것이며, 석영-운모 편암과 녹니석-흑운모-석영 편암은 화산성 퇴적물과 이질 퇴적물들이 혼성된 육성 기원 퇴적물이다.

관모봉 복합체인 무산층의 두께는 약 1500m이다. 변성암류에 대한 K/Ar법에 의한 절대연령은 17.8억~17.3억이다. 이 복합체 내에서 큰 단층대로 북서 방향의 백두산 단층대가 발달하고 있으나, 백두산 화산재지의 화산암으로 덮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