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충단

삼충단

[ 三忠壇 ]

요약 조선시대에 단종의 복위운동에 가담했던 민신·조극관·김문기를 기리는 곳으로 경기도 동두천시 상패동에 있다.
삼충단

삼충단

1986년 4월 28일 동두천시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으며, 성균관유도회 동두천지부에서 관리하고 있다. 조선 초기에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에 항거하며 1453년(단종 1)부터 1456년(세조2)까지 단종의 복위운동에 가담하여 군신유의(君臣有義)를 지켰던 문신인 민신(閔伸 ?~1453)·김문기(金文起 1399~1456)·조극관(趙克寬 ?~1453)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1932년 9월 김문기의 후손 김항권이 세운 삼충단은 가로 9.6m, 세로 7.2m 규모로 내부에는 왼쪽으로부터 김문기, 민신, 조극관의 호패비(號牌碑 높이 67cm, 폭 28cm, 두께 10cm)가 세워져 있다. 해마다 음력 3월과 10월에 동두천시장이 참여하고 후손들과 성균관유도회가 주축이 되어 제향을 올린다.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에는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정분(鄭苯)·김문기·민신·조극관이 배향되어 있는 월계단(月桂壇)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관련동영상

삼충단 조선시대 충신 3명을 기리는 사당 동두천시향토유적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하자 단종 복위를 위해 목숨을 바쳤던 민신·조극관·김문기 3명의 충신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사당으로 1932년에 건립되었다. 김문기의 후손 김항권이 건립하였는데 삼충단은 가로 9.6m, 세로 7.2m 규모로 내부에는 왼쪽으로부터 김문기, 민신, 조극관의 호패비가 있다. 호패비는 곡담 아래에 1반의 단을 세우고 대리석으로 만들어 졌는데  각각 높이 67cm, 폭 28cm, 두께 10cm이며, 삼충단 규모는 정면 9.6m, 측면 7.2m이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