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Nursultan Nazarbayev ]

요약 카자흐스탄의 정치인이자 초대 대통령으로, 1990년 4월 24일부터 2019년 3월 20일까지 재임하였다.
출생-사망 1940.7.6 ~
국적 카자흐스탄
활동분야 정치
출생지 카자흐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체몰간(Chemolgan)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는 1940년 7월 6일 당시 카자흐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체몰간(Chemolgan)에서 태어났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러시아어를 배웠으며, 학교에서의 성적이 좋아 이후 카스켈렌의 기숙학교에 진학하였다. 졸업 후 테미르타에 있는 카라간다 제철소와 드니프로제르잔스크의 한 철강 공장에서 1년간 정부 지원금을 받으면서 근무하였다. 

1962년 공산당에 입당하여 청년공산주의자연맹 소속으로 활동하였으며, 카자흐스탄 국립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9년부터 1984년까지 카자흐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비서관을 역임하였으며, 1984년 3월부터 1989년 7월까지 카자흐스탄 각료회의 의장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카자흐스탄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하면서 최고 권력자 자리에 올랐으며, 1990년 4월 최고인민회의에서 카자흐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카자흐스탄은 1991년 12월 소련으로부터 독립하였고, 이후 카자흐스탄에서 처음 치러진 민선 대통령 선거에 단독으로 출마하여 98%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나자르바예프는 1995년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임기를 2000년까지 연장하였고, 1999년과 2005년, 2011년과 2015년에 치러진 대선에서 압도적인 지지율로 재선에 성공하여 2019년 3월 20일 대통령직을 전격 사임할 때까지 약 30년간 장기 집권을 이어갔다. 이 과정에서 그는 '국가의 지도자'라는 칭호를 부여받기도 했으며, 2007년에는 카자흐스탄 의회에서 나자르바예프의 대선 출마 횟수를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헌법 개정을 승인한 바 있다. 한편, 2017년 1월, 나자르바예프는 카자흐스탄 의회에 대통령이 가진 막강한 권한을 일부 위임하는 헌법 개혁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나자르바예프는 국가의 사회 발전에 있어 교육의 역할을 강조하였고, 양질의 교육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기 위해 2009년 1월 카자흐스탄의 재능 있는 젊은이들을 위한 교육 보조금 제도를 도입하였다. 또한, 여러 국가와의 외교 관계 수립에도 적극적이어어서, 카자흐스탄은 이슬람 회의(현재의 이슬람 협력기구)에 가입하였지만 나자르바예프 정권 하에서 이스라엘과 계속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해왔다. 

한편, 그는 카자흐스탄과 유라시아 지역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는 주변국들에 '유라시아 경제연합'을 만들자고 제안했으며, 2014년 5월 러시아와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간에 단일경제지역을 형성하는 조약을 체결하였다. 또한, 카자흐스탄의 미래 발전을 위한 장기 전략인 '카자흐스탄 전략 2050'을 2012년 공개하면서, 카자흐스탄을 세계 30대 선진국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계획을 제시하였다.

나자르바예프는 오랜 기간 카자흐스탄을 통치하면서 소련 해체 이후 혼란스러운 시기에 신생 국가를 정치적으로 안정시키고 빠른 경제성장을 견인하여 오늘날의 위상을 가진 국가로 발전시켰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그의 집권 기간 동안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의 구소련 독립국들 가운데 경제성장을 가장 빠르게 이루어 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장기 집권을 하는 동안 대통령 본인과 가족 등 주변 인물들의 비리와 축재가 발생하였고, 언론의 자유와 야권을 탄압하여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하였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동시에 받고 있다.

2019년 3월 19일, 그는 생중계된 대국민 담화 형식의 TV 연설을 통해 대통령직을 전격 사임할 것임을 발표하였고,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Kassym-Jomart Tokayev) 상원의장을 신임 대통령으로 지명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