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열사

경열사

[ 景烈祠 ]

요약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에 있는 사당. 고려 말의 무신 정지(鄭地, 1347~1391)를 비롯하여 정충신, 유사, 고중영 등 8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경열사

경열사

1644년(인조 22) 지금의 동구 동명동에 창건되었으며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1871년 철거되어 유허비만 남았다. 지금의 경렬사는 '정지장군 유적보존회'에서 1979년부터 현재의 위치에 복원을 시작하여 1981년 완공하였다.

사당 입구에는 홍살문이 세워져 있고 경내에는 사우, 내삼문, 외삼문과 유물관, 관리실, 경렬사 유허비, 유적정화 기념비 등이 세워져 있다. 사당 뒤쪽 언덕 위에는 정지의 묘가 있는데, 전형적인 고려시대 방식의 예장석묘(禮葬石墓)로서 광주시기념물 제2호로 지정되어 있다.
 
정지는 본관 하동(河東), 시호는 경렬(景烈)이다. 1374년(공민왕 23) 중랑장을 거쳐 전라도 안무사가 되어 왜구 토벌과 수군 창설에 이바지하였다. 이후 전라도 순문사, 해도원수(海道元帥)를 역임하였고 양광·전라·경상·강릉도 도지휘처치사(都指揮處置使)를 지냈다. 그 뒤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위화도 회군의 공으로 2등 공신이 되었다. 말년에 개성부판사(開城府判事)로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나가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경열사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에 있는 사당으로 고려 말 무신 정지를 비롯하여 정충신, 유사, 고중영 등 8명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사당이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1871년 철거되어 유허비만 남았다가 정지장군 유적보존회에서 1979년부터 현재의 위치에 복원을 시작하여 1981년 완공하였다. 사당 입구에는 홍살문이 세워져 있고 경내에는 사우, 내삼문, 외삼문과 유물관, 관리실, 경렬사 유허비, 유적정화 기념비 등이 세워져 있다. 사당 뒤쪽 언덕 위에는 정지 장군의 묘가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