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케

사케

[ Japanese Rice Wine , ]

요약 쌀을 누룩으로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맑게 걸러낸 술.
일본산 청주

일본산 청주

원어명 さけ

사케(酒)는 원래 일본에서 술을 총칭해서 쓰는 말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위스키나 와인, 맥주 등과 같이 일본 술이라는 뜻으로 보통 명사화 되었다. 사케는 '니혼슈(日本酒)'라고도 하는데, 쌀로 빚은 일본식 청주를 말한다. 흔히 우리나라에서 정종(正宗)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본식 발음으로 마사무네(正宗)는 사케 브랜드 중의 하나이다. 일제 강점기 때 한 일본인이 부산에 최초로 청주 공장을 세웠는데, 이곳에서 만들어진 청주 브랜드가 정종(正宗)이었기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정종(正宗)이 사케의 대명사로 여겨졌던 것이다.

사케는 우리나라의 청주와 맛에 차이가 있는데, 이는 주원료인 쌀과 누룩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술을 만들기 위한 쌀을 별도로 재배한다. 또, 밀로 누룩을 만드는 우리 술과 달리 쌀로 누룩을 만든다는 점이 다르다. 지역에 따라 제조되는 사케의 종류는 천차만별이며, 그 가격도 수 백만원을 호가하는 사케도 많다.

일본의 주세법(酒税法)에 따라 ‘쌀, 쌀누룩, 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켜 거른 것’, ‘쌀, 쌀누룩, 물과 청주 술지게미, 그 외 법률적으로 정해진 재료를 원료로 하여 발효시켜 거른 것’, ‘청주에 청주 술지게미를 넣어 거른 것’, 이 3가지 조건 중 하나에 부합하는 술을 청주로 규정한다. 이 중 원료와 제조법이 일정 기준에 부합하는 것은 일본 국세청에서 정한 ‘특정명칭’을 용기나 포장에 표기할 수 있는 데, 이것들을 특정명칭주라고 한다. 특정명칭주에는 준마이슈[純米酒], 긴죠슈[吟醸酒], 혼조조슈[本醸造酒] 등 8가지 종류가 있다. 아래와 같은 조건에 부합할 경우 특정명칭을 표기할 수 있다. 이외의 청주는 모두 보통주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사케는 데워먹는 걸로 알려져 있지만, 차게 해서 마시는 것이 사케의 향을 음미할 수 있다. 보통 봄과 여름에는 차게 해서 마시고, 가을과 겨울에는 약간 데워서 마신다. 데워서 마실 경우에도 고온으로 데우는 것보다는 사람 체온 정도로 따뜻하게 데워서 마시는 것이 좋다.

특정명칭주 종류 사용 원료 정미율 향미 등의 요건

혼죠조슈
(本醸造酒)

쌀, 쌀누룩, 물, 양조 알코올

70% 이하

향미, 윤기가 좋음.

특별혼죠조슈
(特別本醸造酒)

쌀, 쌀누룩, 물, 양조 알코올

60% 이하,
또는 특별한 제조 방법

향미, 윤기가 더욱 좋음.

준마이슈
(純米酒)

쌀, 쌀누룩, 물

특별한 기준 없음.

향미, 윤기가 좋음.

특별준마이슈
(特別純米酒)

쌀, 쌀누룩, 물

60% 이하,
또는 특별한 제조 방법

향미, 윤기가 더욱 좋음.

긴죠슈
(吟醸酒)

쌀, 쌀누룩, 물, 양조 알코올

60% 이하

좋은 원료를 사용하여 공들여 양조, 고유의 향미, 윤기가 좋음.

준마이긴죠슈
(純米吟醸酒)

쌀, 쌀누룩, 물

60% 이하

좋은 원료를 사용하여 공들여 양조, 고유의 향미, 윤기가 좋음.

다이긴죠슈
(大吟醸酒)

쌀, 쌀누룩, 물, 양조 알코올

50% 이하

좋은 원료를 사용하여 공들여 양조, 고유의 향미, 윤기가 더욱 좋음.

준마이다이긴죠슈
(純米大吟醸酒)

쌀, 쌀누룩, 물

50% 이하

좋은 원료를 사용하여 공들여 양조, 고유의 향미, 윤기가 더욱 좋음.

참조항목

청주

역참조항목

소주, 위스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