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하비즘

와하비즘

[ Wahhabism ]

요약 18세기 중엽 아라비아반도에서 출현한 이슬람 복고주의 운동이자 사회·정치 운동으로 오늘날 사우디아라비아의 건국이념의 기초이자, 근대 이슬람 부흥운동의 효시이다.

이슬람 전통주의(원리주의)인 살라피야(al-Salafiyya) 사상을 이어받은 보수주의 운동으로, 와하비야(al-Wahabiyah) 운동이라고도 한다. 이슬람문명의 주요 성지를 돌아다니면서 18세기 이슬람 사회의 병폐를 직접 경험한 압둘 와하브(Muhammad ibn Abdul Wahab, 1703-1792)가 1745년 창시하였다. 와하비즘은 창시자 와하브에서 유래한 것이다.

압둘 와하브는 한발리학파의 추종자로서, 일생동안 타우히드(Taehid, 유일신론)의 엄격한 교리를 실천하고 설교하는 데에 헌신하였다. 그는 선견과 혜안을 가진 존경받는 법학자였으며, 철학적 방법론이나 사변신학자들의 논쟁법을 멀리하고, 변혁적 이론이나 미신적 논리의 학문을 강력히 부정하고 배척했다. 따라서 그의 눈에는 아라비아 사회가 이슬람 이전 시대와 같이 부패하고 타락한 사회로 비춰졌다. 그는 당시 이슬람 사회가 낙후한 원인은 무슬림들이 이슬람의 올바른 길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며,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무슬림들이 진정한 이슬람으로 돌아가 이슬람 원리를 실천하고, 이슬람의 근본 교리와 경전인 코란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인간과 신 사이에 중개자가 있다고 믿는 유일신 부정설과 수피즘을 배격하고, 코란을 문자 그대로 해석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또 성물(聖物)·성도(聖徒) 숭배를 배격하고, 비이슬람적인 음주·도박·춤·흡연이나 화려한 치장 등을 철저히 금하였다.

압둘 와하브는 공동체를 구하는 선교활동에 직접 나섰으며, 1745년 네지드 지방에 있는 사우디 가문의 이븐 사우드(Muhammad ibn Saud)와 조우한 뒤, 그와 함께 자신의 정치적, 사회적 주장을 실현시키고자 하였다. 이 두 사람은 종교적 열정과 군사적 힘을 바탕으로 거룩한 성전을 실행해 가는 강력한 종교-정치 운동을 발전시켰다. 와하비즘은 여기서 유래한 것으로 와하브의 종교적 이념이나 가르침을 따르는 이슬람 복고주의 운동이자 이슬람 부흥운동을 일컫는다.

와하비즘 본문 이미지 1

압둘 와하브의 사상과 이븐 사우드의 군대는 네지드를 비롯한 주변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대시켰으며, 결국 아라비아 반도 전체로 확산되었다. 그리고 1746년 다르이아를 수도로 하는 사우드 왕조가 세워졌다. 그 뒤 이 운동은 정교일치(政敎一致)를 주장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의 지배 이념이자 건국 이념이 되어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을 성립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당시 아라비아 반도에도 다른 오랜 이슬람 도시처럼 장엄하고 화려한 장례기념 구조물이나 종교적 건축물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슬람의 원형에서 벗어난 성인숭배나 참배의식등을 모두 배척하는 와하비즘에 의해 이러한 건축물들이 모두 철거되고, 종교생활에서와 같이 건축 양식에서도 단순미를 강조하는 것이 아라비아의 특징이 되었다. 오늘날에도 와하비즘 사원들은 기본 구조물 외에 특별한 첨탑이나 장식을 하지 않는다. 와하비즘이 이슬람 부흥운동과 무슬림들의 각성에 시발점이 되었으면서도 다른 일반 무슬림 사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고, 아라비아 반도라는 지역적 한계를 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지나친 보수적 경향과 제한되고 한정된 종교관, 그리고 과격행동주의 때문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1964년 왕위에 오른 파이잘(Faisal)이 와하브 교단에 많은 권한을 부여하고, 교단은 왕가의 통치를 지지하면서 와하비즘은 점차 극단적인 운동으로 변질되었다.

오히려 와하비즘은 아랍 지역 보다는 인도,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의 이슬람 국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 과정에서 현지의 종교적 관행과 결합하여 와하브가 주장한 본래의 이슬람 복고주의 운동과는 달리 수피즘적 요소가 가미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이슬람권의 부패정권 청산과 중동·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등지에서 서방세계를 몰아내는 형태로 나타났다. 1979년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을 때 소련군에 대항해 무장투쟁을 전개한 게릴라 조직 무자헤딘(mujahidin)도 와하비즘 추종자들이고, 오사마 빈 라덴(Osama bin Laden)이 이끄는 국제 테러단체 알 카에다(Al-Queda)는 와하비즘 세력 가운데서도 가장 극단적인 단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