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관사 제석상

진관사 제석상

[ 津寬寺帝釋像 ]

요약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외동(津寬外洞) 진관사 나한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소조불.
진관사 제석상

진관사 제석상

지정종목 시도유형문화유산
지정일 2002년 03월 15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길 73 (진관동 354)
시대 조선
종류/분류 소조불
크기 높이 약 95㎝

2002년 3월 15일 서울유형문화재 제144-17호로 지정되었다. 진관사 소 삼존불상(석가불,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津寬寺 塑 三尊佛像(釋迦佛, 彌勒菩薩, 提和竭羅菩薩):서울유형문화재 143)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다.

진관사는 삼각산 서쪽 기슭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고려시대 고찰로, 고려 현종(顯宗:재위 1010∼1031)이 왕위에 오르기 전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진관조사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1011년(현종 2) 무렵에 지은 절이다.

제석상은 소조상(塑造像)으로 높이 95㎝ 정도이며 화려하게 채색되어 있다. 머리에 쓴 보관(寶冠)의 형상과 천의(天衣)의 형태 등 보살(菩薩)의 모습으로 서 있다. 진관사 나한전의 16나한상과 함께 조선 후기에 조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