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

[ 興宣大院君 李昰應筆 墨蘭圖 ]

요약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병풍. 2002년 3월 15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2002년 3월 15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사군자 / 란도
크기 가로 612.4㎝×세로 212.5㎝

2002년 3월 15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병풍은 석파(石坡) 이하응(李昰應:1820∼1898)이 1891년(고종 28)에 유모(劉某)의 부탁을 받고 그린 12폭 석란도(石蘭圖)이다. 병풍의 크기는 가로 612.4㎝×세로 212.5㎝이다.

병풍의 그림들은 2폭씩 대칭구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각 폭에는 다양한 괴석(怪石)과 난초가 어우러져 있다. 난초 잎은 뿌리에서 촘촘히 자라나 위로 한껏 기세를 뿜으며 완곡하게 퍼지게 표현되었는데, 전형적인 그의 후기 난초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바위는 조선 후기의 서화가인 정학교(丁學敎:1832∼1914)가 그린 괴석의 영향을 반영하여 각진 형태의 바위가 첩첩이 쌓인 모습과 부드러운 바위 등을 폭에 따라 배치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체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1786∼1856)의 영향을 받아 발달했으나 만년에는 자신만의 독특한 경지를 선보였는데, 행서(行書)로 쓰여진 이 병풍의 그림 제목은 그의 만년 작품에 잘 나타나는 것이다. 그림 제목은 병풍 각 폭의 오른쪽과 왼쪽에 산문 형식으로 씌어져 있는데, 흥선대원군 자신이 이 병풍을 유모라는 사람에게 그려주게 된 연유와 병풍 형식의 변천 과정, 이 그림이 진정한 감상의 대상이 되기를 바라는 생각 등을 적었다. 병풍의 맨 마지막 폭에는 그림을 그린 시기와 흥선대원군 자신이 회혼(回婚)을 맞은 사실을 기록하였다.

12폭의 이 병풍은 각 폭의 아랫부분이 약간씩 상했으나 그림 부분의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전체적으로 돋보이는 화면 구성과 활달하고 분방한 필치, 유려한 용묵법(用墨法) 등 흥선대원군의 노년기 원숙한 묵란 양식을 잘 나타냈으며, 대원군이 정계에서 물러나 은거생활을 하며 그림에 몰두한 시기의 대표적 작품으로 꼽힌다.

참조항목

흥선대원군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