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 장현리 귀학송

보령 장현리 귀학송

[ 保寧 長峴里 歸鶴松 ]

요약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 장현리에 있는 소나무. 2002년 1월 10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보령 장현리 귀학송

보령 장현리 귀학송

지정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지정일 2002년 1월 10일
관리단체 한산이씨동계공파종중
소재지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 장현리 70-2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크기 높이 25m, 둘레 5.5m

2002년 1월 10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한산이씨 동계공파종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장현리 오서산(烏棲山:해발고도 790m) 명대계곡 입구에 자리잡고 있는 이 나무는 둘레 5.5m, 높이 25m 정도의 소나무로, 특히 한 뿌리에 6개의 가지가 있어서 육소나무라고도 한다.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산해(李山海:1539∼1609)의 동생 이산광(1550∼1624)이 낙향하여 심었으며, 수령(樹齡)은 400여 년으로 전해진다. 이산광이 소나무 주변에 정자를 지은 뒤 학(두루미)이 많이 날아와서 정자 이름을 귀학정(歸鶴亭)이라고 하였는데, 이후 주변 소나무에도 학이 모여들여 귀학송으로 일컬어지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참조항목

청라면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보령 장현리 귀학송 조선시대 이산광의 후손이 심은 소나무 충청남도 기념물 제159호 조선시대 영의정을 지낸 이산해의 동생인 이산광이 광해군의 통치를 비판하여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살았던 곳에 자라는 소나무다. 이산광은 고향에 귀학정이라는 정자를 지었고 그의 후손들이 대대로 주변에서 살았는데 6대손 이실(李實)이 소나무를 심어 높게 자라자 귀학송으로 부르게 되었다.  두 그루의 소나무 가지에서 6개의 줄기가 뻗어나와 육소나무라고도 부르는데 소나무의 수관이 뛰어나 2002년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