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용수사 금호비

안동 용수사 금호비

[ 安東 龍壽寺 禁護碑 ]

요약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 용수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비. 2001년 4월 30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안동 용수사 금호비

안동 용수사 금호비

지정종목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2001년 4월 30일
관리단체 용수사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용수길 284-29 (운곡리)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크기 높이 131㎝, 가로 45㎝, 세로 17㎝

2001년 4월 30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이 금호비는 용수사에서 소유, 관리하며 용수사를 다시 짓기 위한 목재보관소 옆에서 다른 장대석(長臺石) 등과 함께 출토되었다.

용수사는 고려시대인 1146년(의종 즉위)에 경상북도 봉화에 있던 각화사(覺華寺) 주지인 성원(誠源)이 암자(庵子)를 지으면서 세워졌다. 이후 1164년 왕명으로 ‘용수사’라고 사액(賜額)을 받아 화엄종단의 독립사찰이 되었다. 용수사는 1896년에 불타버린 뒤 다시 지어졌다.

용수사의 금호비는 높이 131㎝, 가로 45㎝, 세로 17㎝로 앞면에 34자, 오른쪽 옆면에 9자의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오른쪽 옆면의 글은 비석(碑石)을 세운 이후에 새긴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항목

도산면

역참조항목

용수사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