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순환로

내부순환로

[ 內部循環路 ]

요약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 556번지(성산대교 북단)에서 정릉터널을 지나 서울시내 내부를 돌아오는 도시고속도로로 길이 40.1㎞, 너비 26∼34.8m이다. 왕복6차선으로1993년 7월 23일 내부순환선이 상정되어 도로명이 제정되었으며, 1999년 1월 완공되었다. 도시의 순환도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외곽순환도로와 연계하여 서울과 주변 위성도시와의 교통량 증가에 대비하였다.
내부순환로

내부순환로

길이 40.1㎞, 너비 26∼34.8m이다. 왕복6차선으로, 서울특별시에서 관할한다. 1993년 7월 23일 내부순환선이 상정되어 도로명이 제정되었으며, 1999년 1월 완공되었다. 1993년 7월 23일 성산대교북악터널∼하월곡삼거리까지의 15.2㎞ 구간을 북부간선도로로 상정하여 도로명이 처음 제정되었다가, 1998년 12월 18일 내부순환로로 개정되면서 북부간선도로는 하월곡삼거리에서 신내동 시계까지로 구간이 조정되었다.

한편 하월곡동 46번지(하월곡 삼거리)에서 마장동을 거쳐 성수동1가 656번지(성동교)에 이르는 8.5㎞ 구간의 정릉천간선도로는 1993년 7월 23일 처음 도로명이 제정되었으나, 1998년 12월 18일 내부순환로에 포함됨으로써 도로명이 폐지되었다.

성산대교 북단에서 서대문구 홍은동까지의 5㎞ 구간은 1990년 착공하여 1995년 10월 31일 개통되었고, 서대문구 홍제동에서 성북구 하월곡동까지의 10.2㎞ 구간은 1998년 12월 15일 개통되었다. 또 성북구 하월곡동에서 성동구 성수동 동부간선도로까지의 6.8㎞ 구간은 왕복4∼6차선으로, 1998년 12월 15일 개통되었다. 성산대교∼한강대교∼용비교에 이르는 왕복8차선인 강변북로 16.4㎞ 구간과 겹친다.

도시의 순환도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외곽순환도로와 연계하여 서울과 주변 위성도시와의 교통량 증가에 대비하였다. 또한 첨단교통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각종 교통류를 과학적으로 관리하고, 도시 교통의 대동맥인 간선도로 교통류를 종합 개선하여 소통 개선효과를 극대화시켰다. 앞으로 교통 상황에 따라 신호시간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신호 시스템을 확대·설치해 나갈 예정이다.

주요 통과지역은 마포구 망원동·성산동에서 시작하여 서대문구 연희동·남가좌동·홍은동·홍제동, 종로구 부암동·평창동, 성북구 성북동·정릉동·길음동·돈암동·종암동·월곡동, 동대문구 청량리동·제기동·용두동, 성동구 마장동·사근동·성수동·금호동·옥수동, 용산구 한남동·보광동·서빙고동·이촌동·원효로동, 마포구 마포동·용강동·토정동·현석동·신정동·하중동·당인동·합정동이다.

10톤 이상 화물차, 가스 및 유류운반 탱크로리, 폭발물 운반차량, 건설 기계 등의 특수차량은 통행을 제한시키고 있다.

1999년에 건설된 종로구 평창동의 홍지문터널과 성북구 정릉동의 정릉터널이 있으며, 북쪽 지역은 고가도로로 이루어져 있다. 서울여자간호대학·국민대학교·고려대학교·한양대학교 등의 교육기관과 스위스그랜드호텔·한국국방연구원·한강시민공원·서울화력발전소·절두산성지가 있다.

참조항목

고속도로, 도로

역참조항목

월드컵대교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