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달동

유달동

[ Yudal-dong , 儒達洞 ]

요약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동.
유달동

유달동

위치 전남 목포시
면적(㎢) 12.50㎢
문화재 구목포시립도서관(사적 289), 구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전남기념 물 174), 이훈동정원(전남문화재자료 165), 목포오포대(전남문화재자료 138)
인구(명) 7629명(2008)

면적 12.50㎢, 인구 7629명(2008)이다. 전라남도 목포시에 속한 동이다. 목포의 상징인 유달산 동남쪽 아래에 있으며 동쪽은 만호동, 서쪽은 충무동, 남쪽은 다도해, 북쪽은 북교동·무안동과 접한다.

조선시대의 목포항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서 일제강점기에는 목포항 남서쪽 개펄을 간척하여 일본인 거류지가 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산수통 2정목과 4정목·1정목 일부를 통합하여 산수정이라 하였다.

1948년 일본식 행정구역 명칭을 바꾸면서 유달동이 되었고, 1949년 동제가 실시됨에 따라 유달동회가 되어 중앙동·유달동·대의동을 관할하였다. 1997년에는 목포시의 행정동을 조정하면서 유달동과 서산동 지역을 통합하여 유달동이라 하고 지금에 이른다.

법정동으로는 만호동·온금동의 각 일부와 유달동·대의동·중앙동·서산동·금화동을 관할한다.

목포항 개항과 함께 일제강점기 때부터 조성되어 일본식 주택의 자취가 아직 남아 있고, 개항 당시 중심지였던 관계로 관련 문화유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교육기관으로 제일여자고등학교·유달초등학교·서산초등학교 등이 있으며, 도로의 기점을 나타내는 국도1·2호선 도로원표(道路元標)가 있다.

문화재로 구목포시립도서관(사적 289), 구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전남기념물 174), 이훈동정원(전남문화재자료 165), 목포오포대(전남문화재자료 138) 등이 있고, 현재 목포문화원으로 쓰이고 있는 구목포시립도서관 안에는 여류작가 박화성(朴花城) 문학기념관이 있다.

또한 호국 사적지로서 유달산 등산 입구 표지석에서 5분 정도 걸리는 거리에 노적봉이 있는데, 임진왜란(1592) 때 이순신이 이 봉우리에 이엉을 덮어 군량미를 쌓아 둔 것처럼 가장하여 왜군을 속인 곳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