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라미드형계층구조

피라미드형계층구조

[ ─型階層構造 ]

요약 하층계급 구성원 비율이 상층계급에 비해 높은 계층구조.

하층계급의 비중이 가장 크고,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그 비중이 작아져서 계층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이 피라미드와 비슷한 모양을 보이는 경우이다. 사회 이동이 허용되지 않았던 폐쇄적 사회에서 나타나기 쉬운 계층 구조로, 전근대적인 봉건사회의 지배적인 계층 구조이며, 자본주의 발달의 단계에 비추어 보면 초기 단계에 해당한다.

재산·교육·직업 등 비슷한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끼리 한데 묶여 이러한 여러 집단들이 서열화하여 피라미드형으로 계층을 구성한 것이다. 이 형태는 부분불평등형으로 카스트제도와 같은 엄격한 신분제도 아래, 권위적인 계층구조로 후진사회의 구조를 나타내는데 현실적으로 대개의 계층구조가 여기에 속한다.

근대 산업사회가 시작되면서 신분제의 기반이 된 토지의 중요성이 약해지자 토지를 소유한 귀족의 지위는 약화되고 그 대신 상공업에 종사하는 부르주아가 계층 구조의 상층부를 형성하게 되었다.

후기 산업사회에 접어들면서 중간층이 점점 늘어나 계층구조가 보다 다양해지는 동시에 하류계층의 구성원 비율이 상류계층에 비해 훨씬 높은 피라미드형 계층 구조가 형성되었고, 이는 점차 중류계층의 구성원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부분평등형의 다이아몬드형 계층구조로 이행한다.

이것은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직업의 분화가 이루어져 전문직·관료직 ·사무직과 같은 직종이 크게 늘어나고, 국가가 국민의 복지수준을 높이고 계층간의 격차를 줄이려는 정책을 적극 추진하였기 때문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