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 채운암 대웅전

괴산 채운암 대웅전

[ 槐山 彩雲庵 大雄殿 ]

요약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찰 당우(堂宇). 2000년 5월 4일 충청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괴산 채운암 대웅전

괴산 채운암 대웅전

지정종목 충청북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2000년 5월 4일
소재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 2길 30 (화양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2000년 5월 4일 충청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본래 채운암은 1277년(고려 충렬왕 3) 도일선사(道一禪師)가 화양천 건너편 첨성대 안쪽 계곡에 창건한 수도암이 그 전신이다. 1619년(조선 광해군 2년) 혜식선사(慧識禪師)가 중건(重建)한 후에 채운암이라 고쳐 불렀다. 그러나 한말 왜병의 침입으로 대부분 불타고 1948년 대홍수 때에는 거의 파괴되었다. 1949년에 그 요사 일부를 현 위치에 이전하여 현재에 이른다.

대웅전에는 괴산 채운암 목조여래좌상(충청북도 유형문화재)을 본존으로 봉안하고 있으며, 내부 구조는 한국 고유의 전통기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건물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괴산 채운암 대웅전 괴산 채운암 대웅전 괴산군의 채운암에 있는 본전 건물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30호 괴산군 청천면에 있는 암자 채운암의 법당으로 사찰을 고쳐 지을 때 발견된 상량문에 1826년(순조 26)에 건립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대웅전은 고유의 전통 건축기법을 잘 보존하고 있는 건물로 정면3칸, 측면 3칸 규모이며 다포양식의 팔작지붕 건물로 지어졌다. 건물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초석을 삼은 덤벙주초 양식이며 그 위에 원형 기둥을 올렸다. 어칸(정면 중앙) 기둥 위에는 용머리와 용꼬리의 용두형안초공이 장식으로 끼워져있다. 대웅전 안쪽에는 3개의 불상을 모시고 있는데 중앙에는 문화재로 지정된 목조여래좌상이 본존 위치에 봉안되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