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 multiculturalism , 多文化主義 ]

요약 여성문화, 소수파문화, 비서양문화 등 여러 유형의 이질적인 문화의 주변문화를 제도권 안으로 수용하자는 입장을 이르는 말.

문화주의는 문화의 향상과 문화가치의 실현을 인간생활의 최고 목적으로 하는 주의를 말한다. 그렇다면 다문화주의의 개념을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여러 유형의 이질적인 문화를 세계주의(cosmopolitanism)나 다원주의(pluralism)의 입장에서 유연하게 수용하자는 주의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말은 일반적으로 현대 서양사회의 생활이 점점 더 복잡다단한 성격을 띠고 있다는 인식 아래 여성문화, 소수파문화, 비서양문화를 정규 교육과정에 보다 많이 포함시키려는 취지를 가리킨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대학뿐만 아니라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도 종전의 교과과정에서 배제된 자료들을 편입시키기 위하여 교과서, 앤솔러지(anthology), 교과과정, 강의 개요 등이 개편되고 있다.

문학과 관련하여 보면, 정전(canon)의 경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정전은 문학비평에 응용되어 문학의 기성체제에서 다소 유연한 합의를 통해 위대하다고 간주되는 작품과 작가를 지칭하는 용어가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정전은 주로 백인남성 비평가와 교육자로 이루어진 특권적 엘리트집단에 의하여 형성되어 그 집단 구성원의 공통의 이해(利害)를 재생산하고, 여성 ·동성애자 ·유색인 등 중요하지만 주변화된 다른 집단의 작품과 주장은 배제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런데 이러한 정전 형성에는 제도적 관행의 영향이 크므로 정전의 범위를 넓히는 방법의 하나로 교육기관의 인문학 교과과정을 확대하여, 이제까지는 관행적으로 군소작가라는 이유로 배제되었던 저자들의 다양한 작품들을 포함시키는 방안이 제기되었다.

한편, 다문화주의는 어떤 공통의 이데올로기적 입장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이 용어는 어느 한편에는 단순히 자유주의적 다원주의나 세계주의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는 견해를, 다른 한편에는 인종·성별·성적 취향에 따르는 급진적 분리주의의 한 형태라고 말할 수 있는 극단적인 견해를 합해 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다문화주의에는 소수파 또는 주변화된 집단을 위한 정치적 변호라는 강력한 성향이 내재해 있으므로 보수주의자들의 반발을 사기도 한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