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탄금대

충주 탄금대

[ Tangeumdae Height, Chungju , 忠州 彈琴臺 ]

요약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에 있는 명승지. 2008년 7월 9일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충주 탄금대

충주 탄금대

지정종목 명승
지정일 2008년 7월 9일
소재지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 산1-1번지 등
종류/분류 자연유산 / 명승 / 자연경관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7월 9일 명승으로 변경되었다. 탄금대는 본래 대문산이라 부르던 야산인데, 기암절벽을 휘감아돌며 유유히 흐르는 남한강과 울창한 송림으로 경치가 매우 좋은 곳이다. 탄금대란 신라 진흥왕 때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 중 하나인 우륵(于勒)이 가야금을 연주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삼국사기》에 보면, 우륵은 가야국 가실왕(嘉悉王) 때의 사람으로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가야금을 가지고 신라에 귀화하였다. 진흥왕이 기뻐하여 우륵을 충주에 살게 하고는 신라 청년 중에서 법지(法知)·계고(階古)·만덕(萬德)을 뽑아 보내 악(樂)을 배우게 하였다. 우륵은 이들의 능력을 헤아려 각기 춤과 노래와 가야금을 가르쳤다 한다. 그가 이곳에 터를 잡아 풍치를 즐기며 커다란 바위에 앉아 가야금을 타니, 그 미묘한 소리에 사람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런 이유로 이곳을 탄금대라 불렀다. 칠곡리(지금의 칠금동), 금뇌리(지금의 금능리), 청금리(지금의 청금정) 등의 마을 명칭은 지금까지 전한다.

탄금대는 또 임진왜란 때 무장 신립(申砬)이 8,0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왜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와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군대를 맞아 격전을 치른 전적지이기도 하다. 탄금대 북쪽 남한강 언덕의 열두대라고 하는 절벽은 신립이 전시에 12번이나 오르내리며 활줄을 물에 적시어 쏘면서 병사들을 독려하였다고 하는 곳이다. 전세가 불리하여 패하게 되자 신립은 강에 투신자살하였다.

이곳에는 신립의 충의심을 기리는 탄금대비를 비롯하여 신립장군순절비, 조웅장군기적비, 악성우륵선생추모비, 충주문화원, 야외음악당, 충혼탑, 감자꽃노래비, 탄금정, 궁도장, 대흥사 등과 조각공원 및 체육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충주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관련동영상

충주 탄금대 충주에 있는 우륵이 가야금을 연주했다는 곳 명승 제42호 충북 충주시 칠금동에 있는 명승지로 "탄금대"라는 명칭은 우리나라 3대 악성 중 한 명인 우륵이 "가야금을 연주하던 곳"이라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임진왜란 때 신립장군이 소서행장과 맞서 대적하여 싸운 전적지로 이후 전세가 불리해져 패전하자 장군이 강에 투신하였다고 전해지는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 남한강이 절벽을 따라 휘감아 돌고 울창한 송림이 우거져 아름다운 곳으로 이곳에서 바라다보면 남한강, 계망산, 남산, 충주시가지와 평야지대가 한 눈에 들어온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