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원 구례손씨 묘 출토유물

청원 구례손씨 묘 출토유물

[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Tomb of Lady Son, Cheongwon , 淸原 求禮孫氏 墓 出土遺物 ]

요약 충청북도 청원군 북일면 초정리 뒷산 구례손씨 묘소에서 출토된 17세기 중엽의 의복. 1981년 11월 14일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일 1981년 11월 14일
소장 충북대학교박물관
관리단체 충북대학교박물관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충대로 1 (개신동,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박물관
시대 조선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복식공예 / 의복

1981년 11월 14일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979년 3월 변종화의 11대 조부인 변유인(卞惟寅:1566∼1641)의 묘소를 이장하고 11대 조모 고령신씨, 구례손씨, 보령오씨의 묘소를 차례로 이장하다 둘째부인인 구례손씨 묘소에서 미라된 시신과 함께 출토되었다.

유물의 주인인 구례손씨는 변유인의 측실로 임진왜란 전후 시기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며, 의복들도 이 시기의 의복 형태와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모두 15점의 여자 복식이 출토되었는데 저고리의 길이가 비교적 길고 소매 끝에 넓은 삼유를 댄 것이 특징이다.

1. 포류(袍類)

① 누비 창의 : 133㎝ 길이에 트임은 75㎝이다. ② 겹유 직령포 : 삼수가 달려 있다.

2.상의류(上衣類)

① 남명주 솜저고리 : 삼수가 달린 목판깃에 저고리의 길이가 58㎝이다. 겉고름과 안고름이 모두 달려 있으나 장식적인 의미는 없고 2㎝ 나비의 매듭용이다. ② 겹솜 회장저고리 : 포폭(布幅)을 반쪽씩 이어붙인 것처럼 되어 있으나 일부러 그렇게 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③ 적삼이 있다.

3. 하의류(下衣類)

① 소색 면 단속곳 : 지금의 제도와 같은 형태이며 밀방과 끈이 함께 달려 있다. ② 겹솜 바지:단속곳과 같으나 아래가 트여 있고 바짓부리는 36㎝이다. ③ 겹솜 치마가 있다.

4.기타

① 명목(瞑目), ② 이불, ③ 감투(소모자) : 2종 4점이 나왔는데 시신에게 씌우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실용적인 방한모였을 가능성이 크며 임진왜란 당시의 소모자와 관계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④ 염수가 있다.

묘소를 이장하고 이 의복들을 묘소 부근에 버려둔 것을 변종화의 아들 익수가 청주시에 있는 충북대학교박물관에 제보하여 의복 일부를 수습하고 나머지는 이장한 묘소에서 발굴하여 충북대학교박물관에 기증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 >